학술논문
교육적 이상지에 대한 논의
이용수 90
- 영문명
- Discussions on educational ideals (focusing on Foucault s Heterotopia)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문지영(Moon-Ji Yo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66集, 49~7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is a study on Foucault s Heterotopia. Foucault Heteropia is different from the totalitarian Utopia that Thomas More claims. And Utopia is a space that can not be said to have educational ideals realized. Foucault Heterotopia, however, is a practical space and one that is capable of realizing educational ideals. According to Foucault, Western culture has undergone a mainstream episteme. General epistames depresses individual epistames. It is Heterotopia that actively expresses the unique thoughts of such as the mirror, attic, Indian tents, libraries, art galleries, and museums. This is a place where there is no forced or oppressed, where one makes one s own voice heard, and where there is not morality by the other, but autonomous morality. It is a place where you can reflect on yourself and actively choose and practice ethical actions. In addition, it is a social space that rejects panopticon of surveillance and punishment. It is a society that respects individual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상적 상징의 공간
1.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2.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Ⅲ. 이상적 교육공간으로써의 헤테로토피아
1. 감응과 반감의 지식세계
2. 아프로디지아(aphrodisia)-크레시스(Chrêsis)-엔크라 테이아(Enkrateia) 쾌락의 윤리적 실천
3. 파놉티콘을 거부하는 거울적 사회 공간
Ⅳ.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