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시와 공간담론의 문화예술교육적 해석

이용수  416

영문명
A Cultural, Artistic and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Discourse on City and Space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박지연(Park Ji Yeon) 이병준(Yi Byung Jun)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25집, 205~22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시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담론화하면서 도시문화예술교육이라는 개념을 학계에서는 처음 도입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을 개인적 차원이 아닌 도시의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기고 심도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시민들의 문화학습권, 창조적 인력양성, 지역공동체성을 촉진하고 매개하는 중요한 정책수단이자 지역의 전략이며 또한 문화도시와 학습도시, 창조도시 담론의 핵심가치를 관통하는 중요한 전략이기도 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수동적으로 향유하는 것을 넘어서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환경을 조성하는 문화역량의 강화를 목적으로 하므로 개인과 조직, 지역 전체를 아우르며 문화예술적 가치를 지역의 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은 도시속의 삶의 질과 도시의 경쟁력을 함께 추구하는 도시담론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시민문화·조직문화의 생성과 문화역량에 기반을 둔 시민·전문가의 성장 및 육성은 성공적인 도시의 조건이다. 도시와 미학, 그리고 학습과의 연관성을 언급한 발터 벤야민과 문화적 기억과 도시·공간적 학습의 가능성을 제시한 알라이다 아스만과 같은 인문학자의 연구들은 지금까지 경제학, 정치학, 도시공학, 문화연구, 교육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에서 도시정책의 통합적 연구를 위한 학술적 연계, 도시정책과 관련된 문화예술교육 담론의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irstly introduces the concept of urba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academic world during the discourse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an urban perspective, puts a high value on the study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an urban perspective, not an individual perspective and intends to analyze it deep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n important policy mean and regional strategy which promotes and mediates civic right to learn culture, cultivation of creative manpower and regional community spirit and important strategy which penetrates core value of the discourse on cultural city, learning city and creative city. The purposes of culture and arts are that citizens can cultivate an ability to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actively and strengthen their cultural capability to create the environment beyond their passiv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so it can be utilized to solv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and regional problem creatively by straddling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the whole region. In this context,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iscourse on the city, which pursues quality of urban life and urban competitiveness together. Creation of civic culture·organizational culture by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growth and cultivation of citizens·experts based on the cultural capability are conditions of successful city. The researches of humanities scholars such as W. Benjamin who mentio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ity, aesthetics and learning and A. Assmann who suggested a possibility of cultural memory and urban learning have provided implications about academic connection for urban policy’s integrated study and necessity of systematic study of the discourse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related to urban policy in several disciplines such as Economics, Politics, Civil engineering, Cultural studies, Pedagogy, etc. until now.

목차

Ⅰ. 서 론
Ⅱ. 발터 벤야민의 도시미학 담론의 문화예술교육적 논의
Ⅲ. 아스만의 기억의 공간 담론의 문화예술교육적 논의
Ⅳ. 도시와 공간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Ⅴ. 맺음말: 도시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탐색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연(Park Ji Yeon),이병준(Yi Byung Jun). (2013).도시와 공간담론의 문화예술교육적 해석. 예술경영연구, 25 , 205-228

MLA

박지연(Park Ji Yeon),이병준(Yi Byung Jun). "도시와 공간담론의 문화예술교육적 해석." 예술경영연구, 25.(2013): 205-2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