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iod of Job Maintenance of Persons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재익(Jae Ik, Kim) 박경순(Kyung Soon, Park)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2권 제1호, 87~11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2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취업한 뇌성마비인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성마비근로자가 직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뇌성마비근로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인구학적 요인, 장애관련 요인, 취업관련 요인, 사회환경 요인들이 뇌성마비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하여 뇌성마비근로자 233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그리고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뇌성마비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4요인 17개 변수 가운데 15개 변수가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구학적 요인에서 직업유지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 가구소득, 결혼상태,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장애관련 요인에서는 장애등급, 장애원인, 의사소통능력이었으며, 취업관련 요인에서는 임금, 고용형태, 장애관련기관 및 기업, 직무형태, 직업훈련, 자격증이었고, 사회환경요인에서는 보조공학기기, 근로지원인서비스가 영향요인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rough empirical analysis about factors affecting the period of job maintenance of workers with cerebral palsy. Based on this, workers with cerebral palsy are looking for ways to maintain their job continuous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erify the affect of 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related factors, employment-related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on the job maintenance period of workers with cerebral palsy.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l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for 233 persons with cerebral palsy. The results of the study, of 17 variables of the four factors affecting the job maintenance period, 15 variables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irst, the demographic variables were age, household incom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Second, the disability-related variables were disability grade, disability cause, and communication ability. Third, the employment-related variables were wage, employment type, disability-related organizations and companies, job type, job training, and qualification. Fourth, the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wer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labor support personnel servi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악가를 위한 VAT 음성치료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 정신재활시설 사례관리 활동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간에 따른 삼킴 기능 변화
- AAC 서비스에 대한 보조공학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action, Role Acquisition, and Self-Identity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Daily Sports
- 연하장애환자의 후두기능 및 연하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 음악중재사례
- 뇌성마비인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 패턴 분석
-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일반 아동의 ICF-CY와 삶의 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