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영제 주입 후 열감을 감지하는 시간에 대한 고찰

이용수  44

영문명
Study On the Time to Detect Hot Flashes After Injecting Contrast Media
발행기관
대한CT영상기술학회
저자명
윤승민(Seung Min Yun) 박천웅(Cheon Woong Pak) 곽병태(Byeong Tae Koak) 유명석(Myeong Seok Yu) 이숙희(Sook Hee Lee) 김형기(Hyeong Ki Kim)
간행물 정보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6권 제2호, 97~10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영제 주입 후 환자가 열감을 감지하는 시간은 환자의 신체적 특성과 조영제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열감감지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일반적인 통계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0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3개월간 본원에서 복부,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중 조영제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한 10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중 남성이 667명(61%), 여성 427명(39%)이였으며, 환자의 연령분포는 16세부터 87세였고, 평균연령은 59.6세 이며, 체중분포는 38kg부터 98kg이었고, 평균체중은 63.15kg 이었다. 사용된 조영제는 복부검사에 옴니헥솔 350, 흉부검사에 옵티레이 320을 사용하였으며, 18 G로 정맥주사 하여 주입속도 3cc/sec로 주입하였다. 조영제 주입 후 열감이 감지되기 시작하면 스탑 워치를 이용하여 시간을 기록하였고, 환자의 신체적 특성과 조영제의 농도별 열감감지 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SPSS(V.18)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P = 0.05에서 검정하였다. 결과 : 조영제 주입 후 성별에 따른 열감 감지시간에 대한 분석에서 평균 감지시간이 남성 40.33초, 여성 32.17초로 남성이 여성보다 열감을 감지하는 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01) 조영제의 농도에 따른 열감 감지시간에 대한 분석에서 평균 감지시간이 옵티레이 320을 사용한 환자군은 35.26초, 옴니헥솔 350을 사용한 환자군은 37.56초로 조영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열감을 감지하는 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03) 연령대에 따른 열감 감지시간에 대한 분석에서 평균 감지시간이 청년층 33.49초, 중년층 35.74초, 노년층 38.87초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열감을 감지하는 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01) 대상환자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열감 감지시간에 대한 분석에서 평균 감지시간이 저체중 집단 29.40초, 정상체중 집단 36.76, 과체중 집단 41.81초로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열감을 감지하는 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01)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조영제 주입 후 환자가 열감을 감지하게 되는 최초의 시간은 평균 37초 이며, 평균 감지시간은 환자의 신체적 특성과 사용된 조영제의 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정된 열감 감지시간에 대한 통계자료를 조영제 주입에 관한 설명 시 적용한다면, 조영제로 인한 불안감 해소 및 부작용의 예방차원으로 의료의 질 향상 및 환자의 만족도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general statistical data of the factors that affect hot flush detection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time it takes for the patient to detect hot flushes after contrast medium administr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rast media Materials and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94 people who underwent Abdominal and Chest CT using contrast media within the 3 months between 2013 Oct 1st to 2013 Dec 31st. Among the subjects there were 667 male patients (61%), and 427 female patients (39%).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16 to 87, and the average age was 59.6. Weight distribution was from 38 to 98kg, with the average of 63.15kg. The contrast media used in Abdominal CT was Omnihexol 350, and for the Chest CT it was Optiray 320. The injection was done with 18 G I.V at 3cc/sec. A Stop Watch was used to record the point in time after injection the hot flush was detected, and to compare the hot flush times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SPSS(V.18) was used to analyze at Significance level P = 0.05. Results : In the differences in hot flush detection after injection by sex, the average detection time for men was 40.33 seconds and 32.17 seconds for women, showing that men had slower detection time than wome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In the differences in hot flush detection by Density of contrast media, the patients injected with Optiray 320 showed and average of 35.26 seconds, and patients injected with Omnihexol 350 showed an average of 37.56 seconds, showing that higher concentration of contrast media were linked to slower detection tim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3). In the differences in detection times according to age range, it was shown that older patients showed slower hot flush detection times with the averages showing youth-33.49 seconds, middle age-35.74 seconds, and seniors-38.87 seconds. Among the 3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01). In the differences in detection tim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t was shown that higher BMI was linked to slower detection times with the averages being underweight-29.40 seconds, normal weight-36.76, and overweight-41.81 seconds. Among the 3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01).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study, the average initial time that the patient detects hot flushes after injecting contrast media was 37 seconds, and that average detection times differ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Density of contrast mediums used. If the statistical data about hot flush detection time examined in this study is used in explanation to patien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patients’ satisfaction due to relief of anxiety about contrast media and prevention of side effec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승민(Seung Min Yun),박천웅(Cheon Woong Pak),곽병태(Byeong Tae Koak),유명석(Myeong Seok Yu),이숙희(Sook Hee Lee),김형기(Hyeong Ki Kim). (2014).조영제 주입 후 열감을 감지하는 시간에 대한 고찰.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16 (2), 97-104

MLA

윤승민(Seung Min Yun),박천웅(Cheon Woong Pak),곽병태(Byeong Tae Koak),유명석(Myeong Seok Yu),이숙희(Sook Hee Lee),김형기(Hyeong Ki Kim). "조영제 주입 후 열감을 감지하는 시간에 대한 고찰."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16.2(2014): 97-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