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제우가 제시하는 유학 극복의 논리
이용수 127
- 영문명
- Choe Jewu’s theory of overcoming Confucianism -On the “Going with to the community” and “Uncertainty and Certainty”-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저자명
- 최천식(Choe, Cheonsik)
- 간행물 정보
- 『태동고전연구』제38집, 57~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894년에 일어난 동학혁명의 사상적 기반은 그 이름에 나타나있듯이 1861년에 최제우가 창도한 동학이다. 그런데 동학혁명에 대해서는 ‘민중 주체의 사회변혁운동’으로 소개하면서도 그 사상적 기반인 동학에 대해서는 흔히 ‘심오한 종교철학’으로 소개하고 있다. ‘동학’이 심오한 진리를 추구한 사상이었다면, 여기에서 엘리트주의를 청산하려는 ‘민중혁명’이 나올 수 있었겠는가? 이러한 의문을 바탕에 두고, 본고에서는 최제우의 깨달음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도덕성을 상실한 세상을 목도하고 절망감을 느낀 최제우는 1859년 10월 고향으로 돌아가 학문에 매진했고, 1860년 입춘 날에는 ‘세상 사람들처럼 도덕성을 잃으며 살지는 않겠노라’[世間衆人不同歸]고 다짐한다. 이로부터 다시 3개월이 지난 음력 4월 5일 최제우는, 지금은 ‘세상 사람들과 함께 가야 하는[與世同歸] 시대’임을 자각한다. ‘부동귀’에서 ‘여세동귀’로의 변화, 이것이 최제우의 깨달음이었고, 이러한 깨달음은 ‘지고한 독행(獨行)’을 지향 했던 자신의 지난 삶에 대한 통렬한 반성이었다. 선비를 도덕성의 주체로 세워놓은 것이 유학이라면, 역사 이래 처음으로 민중을 지식 추구와 도덕 실천의 주체로 세워놓은 것이 동학이다. 최제우는 불연기연
편에서 민중의 도덕성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정초한다.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래서 확신할 수 있는 것을 기연(其然)이라 하고, 눈으로 확인할 수 없고 그래서 확신할 수 없는 것을 불연(不然)이라 한다. 기존의 유교, 기독교, 불교, 도교에서는 리, 신, 윤회, 도 등 눈에 보이지 않는 ‘불연’의 세계를 추구한다. 이에 반하여 최제우는 ‘기연’을 내세운다. 심오한 이치를 추구하려는 태도를 경계하며, 지식의 추구는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해야지 확인할 수 없는 것으로부터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리를 통해서, 사람이라면 누구나 확실한 지식을 추구할 수 있다고 선언한다. 학문의 받침점을 ‘불연’에서 ‘기연’으로 옮겨놓음으로써, 지식 추구와 도덕 실천의 주체를 ‘선비’에서 ‘민중’으로 넓혀놓은 것이다. 최제우가 일으킨 동학은, 엘리트주의에 기반을 둔 유학의 논리를 극복하고, 도래하는 ‘민중 중심 사회’를 맞이하려는 사회철학이다.
영문 초록
As the term evince, Donghak( 東學 ) which Choe Jewu( 崔濟愚 : 1824~1864) preached from 1861, became the philosophical base of Donghak Revolution( 東 學革命 ) which broke out in 1894. However, while Donghak Revolution have been regarded as “social revolution by the common people”, Donghak as “a profound religion which was not easy to learn.” If Donghak were a religion searching for profound truth, could such a revolution by the common people have taken place? On this question, this paper restudied what Choe jewu’s realization was. In despair caused by prevailing selfishness, Choe jewu went back to his native place on October in 1859, made up his mind “not to live like the common people” on February 4 next year, and realized that the present age is the times “to go with the common people” on April 5 by the lunar calendar. The change from “not to live like the common people” to “to go with the common people”, this was Choe Jewu’s realization, which was a severe reflection to his own life. While Confucianism is a system of thought operated by scholars, Donghak is that by the common people. Choe Jewu argued how the morality of the common people was possible in the piece of “Uncertainty and Certainty.” He moved the fulcrum of scholarship from “Uncertainty” to “certainty”, by doing so, enlarged the protagonist of knowledge and morality from the scholars to the common people. Donghak is a social philosophy which would overcome the elitism of Confucianism and go to meet the community by the common people.
목차
1. 서론
2. 최제우의 깨달음: 同歸一體
3. 민중의 도덕성을 위한 정초: 不然其然
4. 제2의 문명 시대: 다시 개벽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