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와 도덕과교육
이용수 252
- 영문명
- Narrative and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호(Lee Jae 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호, 27~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와 도덕과교육의 관련 문제를 염두에 두고 내러티브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에 있다. 최근 도덕과교육 연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내러티브 접근은 실제적 처방의 대상임과 동시에 이론적 이해의 대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후자의 관점에 비추어 도덕교육에서의 내러티브 접근이 등장하게 된 배 경과 특징, 내러티브와 도덕과교육의 관련성을 염두에 둘 때 제기될 수 있는 쟁점들, 그리고 도덕과교육을 위한 내러티브의 이론적 고찰을 시도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덕과 수업은 학생이 겪는 일상의 도덕적 행위에 붙박여 있 는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는 특별한 맥락을 이루는 특별한 활동으로서, 교사의 언어 적 행위와 모방, 그리고 교사에 의해 촉발되고 진전되는 내러티브에 의해 심성 함양 을 이루는, 이른바 시간과 내러티브를 공유하는 여정이다. 만일 도덕과 수업에서 도 덕적 의미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일상적 수준에 국한하여 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어 렴풋하게 알고 있는 규범의 의미와 가치를 재생하는 정도에서만 활동이 이루어진다 면, 심성 함양을 위한 내러티브의 본래적 기능은 온 데 간 데 없이 일종의 대화 기법 이나 수단으로 전락될 수도 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implications of narrative function in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focused on the related problems of narrative and moral development. Recently, narrative approach in studies of moral education shares a common focus on narrative and storytelling as a central aspect of human existence, based on the premise that we are, by our very nature, ‘storytelling animals’ that we understand our actions, and the actions of others, primarily through narrative. The function of narrative is to endow a certain sequence of events with meaning. Hence narrative approaches assume that narrative provides a uniquely powerful vehicle for understanding human experience, especially human moral experience. With respect to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narrative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Tappan suggests that teachers and educators interested in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authorship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ell their own moral stories, to speak in their own moral voices, hence to authorize their own moral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And Tappan suggests that these opportunities allow students to express and enhance their own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authoring. But, according to the discussions of Vygotsky and Bakhtin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s on narrative function in instructional situations, human development as transformation of the intrapersonal into the interpersonal mental functions results from the influence of society, which necessitates the ‘guided participation’ by teacher. And learning the refined content of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with the aid of teachers is a most effective way of facilitating moral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It is a most effective way to transmit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children’s moral development. (2) Teacher’s role as an agent of our inheritance, which constitute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nd children’s mind, is indispensable to developing moral beings in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내러티브 접근의 등장 배경과 특징
Ⅲ. 내러티브 접근에서의 세 가지 쟁점
Ⅳ. 도덕과교육을 위한 내러티브의 이론적 고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러티브와 도덕과교육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인지?행동조절 학습전략의 관계
- 학습자 중심의 기초자치단체 교육협력 지원 비교분석 및 교육효과 증대 방안
- 자기평가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 시간관리 훈련이 여대생의 시간관리 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지통제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 원격화상교육을 활용한 영어과 예비교사교육
-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과서에 제시된 토론 논제의 내용과 적합성에 대한 논의
- 중등교사의 교수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과 인지적 특성
- 중학교 체육과 감상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기대효과 탐색
- 매체접촉경험이 중학생의 다문화수용성태도에미치는 학습자 특성 변인과의 상호작용
- 스마트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 문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 아동의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 관계 연구
- 텍스트성을 활용한 텍스트 충실히 읽기 지도의 가능성과 의의
-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색
- 과학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초등교사의 PCK 변화 과정 분석
- 교육기부 효과성의 정량적 분석방법 연구
- 초상화법 기반의 고등학교 중도탈락에 관한 인물 사례 연구
- 체육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스포츠 감상수업 운영 실태 분석
-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대한 고찰
- 중등교사의 자기표현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 사이버대학교 예비보육교사의 교직선택 동기 및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