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인지?행동조절 학습전략의 관계
이용수 298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ir Use of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진(Hyun jin Kim) 전종희(Jong hee J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호, 373~3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신의 인지 행동조절 학습전 략의 사용과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일반계 중학교 학 생 323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인지 행 동조절 학습전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생의 인지 행동조절 학습전략 사용과의 관계에서 완벽주의 중 사회부과적 완벽주 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자 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인지 행동조절 학습전략 사용 간의 정적 관계, 그리고 사회부 과적 완벽주의와 인지 행동조절 학습전략 사용 간의 부적 관계 모두 학업적 자기효 능감 수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ive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324 male and female stud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Seoul area answered the scales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perfectionism, academic self-efficacy, and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irst find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did not moderate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oriented perfectionism and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 discussion and a conclusion are included, as ar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러티브와 도덕과교육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인지?행동조절 학습전략의 관계
- 학습자 중심의 기초자치단체 교육협력 지원 비교분석 및 교육효과 증대 방안
- 자기평가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 시간관리 훈련이 여대생의 시간관리 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지통제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 원격화상교육을 활용한 영어과 예비교사교육
-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과서에 제시된 토론 논제의 내용과 적합성에 대한 논의
- 중등교사의 교수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과 인지적 특성
- 중학교 체육과 감상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기대효과 탐색
- 매체접촉경험이 중학생의 다문화수용성태도에미치는 학습자 특성 변인과의 상호작용
- 스마트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 문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 아동의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 관계 연구
- 텍스트성을 활용한 텍스트 충실히 읽기 지도의 가능성과 의의
-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연구동향 분석
-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색
- 과학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초등교사의 PCK 변화 과정 분석
- 교육기부 효과성의 정량적 분석방법 연구
- 초상화법 기반의 고등학교 중도탈락에 관한 인물 사례 연구
- 체육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스포츠 감상수업 운영 실태 분석
-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대한 고찰
- 중등교사의 자기표현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 사이버대학교 예비보육교사의 교직선택 동기 및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