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천 만곡부에서의 세굴심 산정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the Scour Depth Equation in Bight River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저자명
- 최한규(Choi, Han-Kuy) 박제완(Park, Je-Wan) 박수진(Park, Soo-Jin)
- 간행물 정보
- 『산업기술연구』vol.32, 47~5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urrently, we only estimate the average flood water level by the cross-sections of the river using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hen establishing the basic plans. However, the reliability decreases when it comes to the river bend. In river bend, the difference of water-level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river arises by centrifugal force. And it is estimated less than what it could be estimated when establishing the plan with average estimate of flood level. It is apprehended that the exterior of the river will be under-constructed when establishing the scour depth only with the mean depth. In the case of local scour of the abutment, it is difficult to estimate its depth precisely, and it tends to be over-estimated in the case of the empirical formulas. Therefore, the modification considering the deviation of the water depth of the exterior of the river bend is needed. In observing the deviation of each formula in river bend, it is found: Andru’s formula for 58%, followed by the Laursen’s for 26%, and the C.S.U’s for 17% in pier, while it is 44% for Froehlich’s formula in abutment. Under the 500CMS of the flood discharge, the deviation of the scour depth between pier and abutment was about 10 %. However, in further flood discharge, it shows 24∼58% the biggest in deviation of piers. It is concluded that the scour depth estimate should be done with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세굴심 산정 및 고찰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EEE 802.16j MMR 네트워크에서 Non-transparent 모드의 커버리지 확대
- 수동 역률 보상회로를 이용한 LED 센서등 회로의 개발
- Diamond-like carbon film의 열적거동에 관한 연구
- 고도하수처리공법을 적용한 마을 하수도의 수질개선 평가
- 써모파일 센서를 이용한 NDIR CO2 가스검출기의 개발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방파제의 안정성 검토
- 리스크 기반 테스트 케이스/테스트 세트 가치 추정 모델
- 급경사지 재해 경감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 LED 정전류 구동회로의 입력전압 리플 크기에 의한 특성 비교
-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카복시 건의 주입량 제어
- 자력에 의한 산성 광산 배수의 처리
- 하천 만곡부에서의 세굴심 산정식에 관한 연구
- 스프레이코팅 방식으로 제작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막 스트레인센서
- 부산지역 준설매립지반의 압밀거동 특성 분석
- 저가형 DSP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
- 3상 모듈형 UPS용 Interleaved PFC의 디지털 제어
-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환자 인식 및 구조요청 시스템설계 및 구현
- 암모니아수를 이용한 N-doped TiO 2 제조 및 부식산의 광촉매 분해
-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최대 전송 용량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