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식지 등가성 분석을 이용한 연안의 대체서식지규모 산정
이용수 21
- 영문명
- Estimation of Replacement Habitat in Coastal Zone Using Habitat Equivalency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생태공학회
- 저자명
- 박나애(Naae Park) 이석모(Suk M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생태공학회지』한국생태공학회지 제5권 제1호, 65~7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rvation of the coastal resources and environment is emerging as a large concern worldwide since the coastal zone have been damaged from ongoing national land development and natural disaster lately. South Korea has very well developed coastal zone, which is a region where interaction of the sea and land processes occurs. Therefore, coast improvement projects, which aims to preserve domestic coastal health, including coast preservation project and waterfront renovation project are being enforced. However, the act on the restoration of the coastal habitat is absent.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 the act on the creation of the replacement habitat is enacted to prevent further loss of coastal habitats. This study introduces a way of determining the scale of replacement habitat creation for coastal habitat restoration by using the habitat equivalency analysis. This study also calculate the scale of the replacement habitat based on domestic site using Visual_HEA. As a result, creating replacement habitat of the eelgrass habitat in Koje Bay, where the eelgrass was damaged by road construction, depends on the types of restoration. In case of off-site restoration, 1.729 km² of replacement habitat is needed, which is about 106percent of the injured area. In case of on-site restoration, 0.075 km² of additional replacement habitat is needed, which is about 4.6percent of the injured area. These results can suggest quantitative restoration scale to prevent further loss of coastal habitats and also can be used as the basis to determine the policies for efficient use and preserv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