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역이용협의 사후관리(해양환경영향조사)의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이용수 40
- 영문명
- A Study of Futur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Post Management on Marin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 발행기관
- 한국생태공학회
- 저자명
- 김혜진(Hyejin Kim) 오현택(Hyuntaik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생태공학회지』한국생태공학회지 제5권 제1호, 25~3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onsult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edicts the impacts of marine ecosystem from utilization projects, and finds the proper management tool for harmonization between developer, agency, and local communities. These consultation has the uncertainty about future prediction on environmental impacts compared to the licensing process. For the overcome this uncertainty matter, Post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EIA) involve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fter the consultation. However, the report of investigation should be submitted in January of the next year of projects. Due to the limited submission period, the developer and agent prepare the simplified and standardized investigation reports. These results in the difficulty of review process by the governmental agencies. The projects which are subject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Ministry of Ocean coincidently have to submit the investigation report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nly. Even though areas of project conduct in the ocean and costal area mostly, these report could not be reviewed by the experts of ocean and ocean related agencies. The reclamation projects which occupy less than 15,000 square meters exempted the process of the investig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fter the consultation, these cases make difficulties of management of details of consult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paper analyzed the status of the investigation report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based on the reports submitted the consultation center for 3 years, and checked the difficulties and suggested the strategic planning in the near future.
목차
ABSTRACT
1. 서론
2. 해양환경영향조사 시행현황
3. 현행 해양환경영향조사의 문제점
4. 해양환경영향조사의 개선방안
5.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