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riation of petiole length and its relationships with agronomic characters in soybeans(glyeine max L. merrill syn)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Kim Bong Lyong(金鳳龍) Rho Yeong Deok(盧泳德) Shin Han Kwon(權臣漢)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18 No.4, 106~11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etiole length of soybean is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to lodging and other agronomic character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it. Determination of representative petiole length from soybean plants is difficult because of the variation of petiole length at each node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presentative petiole length from soybean genotype, and relationships between petiole length and other agronomic characters.
The petiole of the lower first node was the shortest and became gradually longer on upper nodes in determinate type. Any petiole of 4th to 15th nodes from top could be used as the representative ones, while the average of three petioles from top third to 5th taken at flowering terminate stage or the measurement from the sixth petiole from the top could be also used as the representative. Petiole length showe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lowering, maturity, and ripening period, bu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with 100 grain weight and pod borer damage.
One of the reasons for the lodging of Korean native soybeans seemed to be due to their long petioles, and the importance of petiole length in soybeans was fully recognized.
목차
ABSTRACT
緖言
材料 및 方法
結果 및 考察
摘要
引用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Haploxylon pines의 分類學的 類緣關係
- 發芽溫度 및 貯藏期間에 따른 小麥品種의 發芽性
- 벼의 三染色體 植物의 形態的 및 細胞學的特性
-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vigna angularis(wild.) ohwi & ohashi and vigna umbellata(thunb.) ohwi & ohashi through in vitro culture of embryos
- 油菜粕 飼料化를 위한 有害成分(glucosinolate) 改良育種에 關한 硏究 第2報. 油料用 brassica屬 作物의 登熟中 有害成分 含量變異
- 감자와 가지의 原形質體 融合
- 大豆의 世代短縮에 關한 硏究 Ⅰ. 種實의 登熟期間과 發芽力
- A maize inbred line “Euisung” resistant to black streaked dwarf virus
- 벼 葯培養에 있어서 1段階培養에 의한 植物體 誘導에 關한 硏究
- Phenolic compounds of some alnus species growing in Korea
- 綠豆의 開花期, 收量 및 收量關聯形質의 遺傳에 關한 硏究 Ⅱ. 收量 및 收量關聯形質의 遺傳
- 大豆葉柄長의 變異 및 主要形質과의 相關
- 호박 1 代雜種의 純度檢定을 위한 phosphoglucomutase의 同位酵素 分析에 관한 硏究
- 땅콩 揷植苗 種類에 따른 生育 및 收量性의 草型間 變異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Lactobacillus sakei로 발효한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염증 개선 효과
- 차테라피 경험을 통한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
- 정서적 안정을 위한 차문화치료 특성을 반영한 티하우스 공간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