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어휘 양상 연구
이용수 1,215
- 영문명
- A Study of the Vocabulary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Selecting Vocabulary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기연(Yi ki 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6호, 669~6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어휘를 조사하고 그 양상을 살피고자 국어, 수학, 사회, 과학 4개 교과를 선정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기 교과서와 2009 개정 교 육과정기 교과서 어휘를 분석하였다. 해당 교과서의 어휘를 분석한 결과 2007 개정 교육과정기 교과서의 경우,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어휘의 양이 증가하기는 하나 증 가 비율이 일정하지는 않았으며, 같은 학년 내에서도 교과 간 어휘 수록 양상의 편 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2009 개정 교육과정기 교과서의 경우, 현재 개발된 교과서 일부의 어휘를 분석했을 때는 2007 개정 교육과정기 교과서보다 어휘의 수가 많았 고, 일부 과목에서는 어휘 수는 늘어났으나 어휘 다양도는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기 도 했다. 2007 개정 교육과정기 교과서의 어휘 등급 분포를 살펴보면, 1학년에서 6학 년까지 전체적으로 1-5등급의 어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초등학생 수준의 어휘가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순차적 인 비율로 어휘가 점차 고빈도어에서 저빈도어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에서는 학년별 교과서의 어휘 수록 양상 전반을 검토하였으나, 추후에는 이런 자료 를 어휘 종류별로, 혹은 교과별로 분석하여 어휘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보다 실효 성 있는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analysis will examine the textbook vocabulary and its aspect in selected elementary subjects of Korean,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by analyzing 64 volumes for 1st through 6th graders in 1st/2nd semesters revised in 2007 and 28 volumes for 1st-2nd graders revised in 2009. Overall, TNW in 2007 curriculum has increased with grades but been irregular in its increase ratio, showing the imbalance of included vocabulary among subjects within the same grade. Some textbooks in 2009 curriculum developed so far show bigger size of vocabulary than that of 2007 curriculum and TNW increase in some subjects but less vocabulary variety at the same time. As to vocabulary level in 2007 curriculum, more than half of vocabulary for 1st through 6th grades is 1 to 5 levels, which shows the overall use of elementary school level vocabulary in textbooks. This analysis focused on the overall aspect of vocabulary included in textbooks but it will proceed into establishing useful and effective data for vocabulary education by analyzing vocabulary in sorts within textbooks with more varie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Ⅲ.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수록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육과정의 연계 유형 및 적합성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사이버 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사회과 거꾸로 수업에서 중학생의 학습양식, 사회정서역량,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
- 일반고 학생의 사회경제적 지위, 독자적 학습, 사교육과 수학 학습 태도 및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 유아 부모를 위한 미학교육 인식 및 요구
- 핵심 성취기준에 따라 개발된 과학 교과서 시범 단원의 분석
- 학생선수의 훈련 인식 유형과 차이
- 비전수립 코칭 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 애니메이션 제작 활동을 주제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개발
-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청소년의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 교사 정체성 관점에서 분석한 수석교사제 연구
- 쓰기부진 초등생의 형태소 및 철자지식을 활용한 문장쓰기 중재 효과
- SSI(Socio-Scientific Issues)를 소재로 한 융복합 교양교과목의 설계 및 운용
-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 중심의 미적분 교육과정과 교실 문화
- 초등학교 체육전담 남교사로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수학·과학수업 교실문화 분석연구의 신뢰도 검증방법에 대한 고찰:
- 초등영어교수에서 장편 아동문학 작품의 활용
- 초등학생의 표준 발음 지도 방법 연구
- 청소년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사별여성의 전환과 적응에 대한 사례연구
- 만 5세 쌓기놀이 갈등해결에서 유아 또래 간 친사회적 행동 발생맥락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ICT 활용 체험학습 연구동향 분석
- 한국어 교육과정의 읽기 내용 성취기준 연구
-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 STEAM 프로그램 분석틀 개발 및 프로그램 분석
- 인문계 고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업생애사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저학년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어휘 양상 연구
- 교수설계 변인과 대학생 핵심역량 간의 관계에서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