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동반자 사업의 효과성 실증분석 연구

이용수  48

영문명
An Empirical Analysis on Effects of ‘Cultural Partnership Initiative’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김세준(Kim Sae June)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33집, 257~28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이후 중장기 해외문화외교 사업의 일환으로 문화부가 추진하는 문화동반자 사업의 효과를 참가자의 한국이미지 변화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가트너(1993)와 러셀(1983) 등의 선행연구에서 주장된 인지적 정서적 이미지를 동시에 검증하여 6개월간 지속되는 해외문화예술인 초청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사업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문화동반자사업 참가자 전원 72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조사를 통하여 변화를 이미지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변인을 활용하여 행동과 인지변화를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사업의 효과는 전반적으로 인지적 정서적 모두 긍정적으로 검증되었고 정치변인을 제외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변화가 나타났다. 즐거움, 재미, 친절 변인은 참가 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하지만 인지적 이미지는 통계적으로 변화가 약하였는데 이는 국가간 차이와 참가자 개인요소가 강하게 영향을 끼쳤다. 이 연구의 효과는 직접대인 접촉을 통한 문화동반자 사업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향후 장기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변화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going cultural diplomacy program, Cultural Partnership Initiative on changing images of Korea. The policy was mainly purposed to improve the images of Korea among the arts community in developing countries as part of Oversea Development Aid Project. Gartner(1993) and Russel(1983) mainly suggested theoretical arguments on the importance of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img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is interpersonal residence training program. The survey were conducted to all participants (72 People) of the 2013 Cultural Partnership Initiative who performed for 6 months in Korea and the research method is pre-post surveys. Questionnaires are develop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consisted of cognitive and affective country image variables, interpersonal contact variable and behavior intention variables measurement parts. The results found Korea’s country image before/after the cultural train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pecifically the survey on subfactors of the cognitive country image before/after the program showed that except politics, the country image was improved in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lso, affective images, attractive factors such as pleasure, excitement and kindness were improved after the program participation. The findings imply affective imag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evisit and recommendation purpose, and the cognitive imag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e current residence policy was effective for improving interpersonal contact with several alternatives in implementing policy.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Background
III. Research Method
IV. Results
V.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준(Kim Sae June). (2015).문화동반자 사업의 효과성 실증분석 연구. 예술경영연구, 33 , 257-286

MLA

김세준(Kim Sae June). "문화동반자 사업의 효과성 실증분석 연구." 예술경영연구, 33.(2015): 257-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