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과학경험, 학습환경, 과학학습동기, 초인지 전략 및 과학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용수 240
- 영문명
-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learning environmen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ve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담이(Bang, Da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4호, 719~7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과학경험, 초인지 지향 학습환경, 과학학습동기, 초인지 전략 및 과학성취도의 구조적인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 밖 과학경험, 초인지 지향 학습환경을 외생변수로, 과학학습동기, 초인지 전략 및 과학성취도를 내생변수로 하여 구조 모형을 설정한 후 모형 적합도 및 경로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과학경험과 초인지 지향 학습환경은 과학학습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동기는 초인지 전략과 과 학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초인지 전략은 과학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 밖 과학경험과 과학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와 초인지 전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초인지 지향 학습환경과 과학성취도의 관계에서도 과학학습 동기와 초인지 전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ve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is research,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and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were set as exogenous variable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ve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were set as endogenous variables. Then goodness of fit index and path coefficient of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and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have direct effect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has direct effects on metacognitive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Metacognitive strategy also has an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is is the s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되어보기’ 활동의 교육내용 분석 및 수업 실행 연구
-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작품 중심 문학 교육의 의의와 방법
-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수준과 영향요인
- 체육 수업 소외 현상 개선에 대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 연구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학습태도, 문제해결과정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09 개정 국어과 성취기준을 통한 전래동화 지도방향 탐색
- 집단상담 참가자가 경험한 ‘직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체육실기 수업에서 교대생의 동기유발 요인에 대한 태도 유형 탐색: Q방법론적 접근
- “국어 활동”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 IPA 기법을 이용한 장애아전문어린이집 교사들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도-실행도 분석
- 표준 한국어 교재의 학습목표에 대한 고찰
- 진로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 공학계열 대학 신입생의 물리 개념 이해수준의 탐색
- 초등환경교재를 활용한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효과
- 긍정심리증진 집단상담이 양육시설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정서조절력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호주 아동중심 EYLF의 교육체계와 그에 따른 실제가 누리과정 운영에 주는 시사점
- 30대 대졸 경력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유치원 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기질, 언어·인지발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따른 놀이행동과 그 성별차이
-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학생 질문’의 활용 방안 탐색
- 유아의 도치 문제해결 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
- The Effects of a RT-based Autogenic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Tic Disorder
-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의 학교 적용가능성 탐색
- 다중언어 사용자와 단일언어주의 기반의 평가활동에 관한 비판적 이해
- 대학생의 자기계발에 대한 인식 탐색
- 빅데이터 분석 방법에 기반 한 실과 농업 단원의 핵심개념 연구
-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
- 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강좌 개발
- SNG의 이용 동기가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교 밖 과학경험, 학습환경, 과학학습동기, 초인지 전략 및 과학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무용전공 박사과정의 교육과정 분석
- 탈북 간호대학생의 학업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창업동아리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원의 기술사업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융복합적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PCK 분석
- 대학교양교육에서 환경교육 내실화를 위한 강의 개선 연구
-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 탐색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여학생의 이성간 갈등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초·중등교사의 체육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비교
- 다문화 중점학교 프로그램 참여자의 다문화 시민성 인식에 관한 연구
- 공감교육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사회통합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수능력 및 실천적 지식 탐구
- 교사의 긍정적 정서경험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학교 성교육 표준안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도 분석
- 청소년의 또래애착, 사회적 책무성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