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품 중심 문학 교육의 의의와 방법
이용수 269
- 영문명
- The Significance and Method of ‘Work – Based Literary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혁준(Kwon, HyugJ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4호, 389~4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의 초등학교 문학교육은 교과서 체제의 제약조건(목표중심 단원 구성 방식으로 인해 문학 교육의 본질에서 멀어져 있다. 필자가 ‘작품 중심의 문학교육’을 제안하는 이유는 문학 작품의 본질적인 아름다움과 감동을 학생들에게 체험시키기 위해서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작품 중심 문학교육의 의의를 탐구하고 그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려 하였다. ‘작품 중심 문학교육’은 온전한 문학 작품 한 편을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그 작품의 아름다움과 감동을 충분히 체험하게 하는 교수 방식이다. 작품 중심 문학 교육의 의의는 삶의 총체적 이해, 문학적 문화의 고양, 수용자의 능동적 감상 촉진, 내면화 촉진 같은 문학 교육의 목적과 본질을 효과적이고 충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온전한 문학 작품을 읽어야 작가의 세계관과 인물의 가치관, 삶의 전체성을 이해하게 되고, 심미적 정서를 함양할 수 있다. 작품중심 문학교육에서는 그 작품이 지니고 있는 가장 우수한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을 해야 한다. 작품 중심 수업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문학작품 토의하기 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학생들 스스로의 반응과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말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reason why I suggest the ‘work-based literary education’ is because the ‘objective-oriented textbook structure’ is far from the essence of the literary education. Therefore, this thesis will seek the meaning and the method of the ‘work-based literary education.’ Following the ‘work-based literary education,’ educators choose one literature and let the students read the whole text. This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let the student experience the beauty and the impression of the literary work. The ‘work-based literary education’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fully achieve the purpose and the essence of the literary education. While reading the literary work, discussing the author’s world-view, talking about the values that characters have, and sharing the impressive moments of the literatur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totality of life and cultivate an aesthetic feelings. In ‘work-based literary education,’ the most essential point is to let the student read the whole text of a literary work. Meanwhile, the class should focus on the prime and superior element of the literary work while reading and appreciating it.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e students understand and feel the most excellent and important element of the literary work.
목차
Ⅰ. 서 론
Ⅱ. 작품 중심 문학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Ⅲ. 작품 중심 문학교육의 의의
Ⅳ. 작품 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되어보기’ 활동의 교육내용 분석 및 수업 실행 연구
-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성인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작품 중심 문학 교육의 의의와 방법
-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수준과 영향요인
- 체육 수업 소외 현상 개선에 대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 연구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학습태도, 문제해결과정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09 개정 국어과 성취기준을 통한 전래동화 지도방향 탐색
- 집단상담 참가자가 경험한 ‘직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체육실기 수업에서 교대생의 동기유발 요인에 대한 태도 유형 탐색: Q방법론적 접근
- “국어 활동”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 IPA 기법을 이용한 장애아전문어린이집 교사들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도-실행도 분석
- 표준 한국어 교재의 학습목표에 대한 고찰
- 진로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 공학계열 대학 신입생의 물리 개념 이해수준의 탐색
- 초등환경교재를 활용한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효과
- 긍정심리증진 집단상담이 양육시설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정서조절력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호주 아동중심 EYLF의 교육체계와 그에 따른 실제가 누리과정 운영에 주는 시사점
- 30대 대졸 경력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유치원 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기질, 언어·인지발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따른 놀이행동과 그 성별차이
-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학생 질문’의 활용 방안 탐색
- 유아의 도치 문제해결 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
- The Effects of a RT-based Autogenic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Tic Disorder
-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의 학교 적용가능성 탐색
- 다중언어 사용자와 단일언어주의 기반의 평가활동에 관한 비판적 이해
- 대학생의 자기계발에 대한 인식 탐색
- 빅데이터 분석 방법에 기반 한 실과 농업 단원의 핵심개념 연구
-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
- 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강좌 개발
- SNG의 이용 동기가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교 밖 과학경험, 학습환경, 과학학습동기, 초인지 전략 및 과학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무용전공 박사과정의 교육과정 분석
- 탈북 간호대학생의 학업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창업동아리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원의 기술사업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융복합적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PCK 분석
- 대학교양교육에서 환경교육 내실화를 위한 강의 개선 연구
-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 탐색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여학생의 이성간 갈등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초·중등교사의 체육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비교
- 다문화 중점학교 프로그램 참여자의 다문화 시민성 인식에 관한 연구
- 공감교육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사회통합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수능력 및 실천적 지식 탐구
- 교사의 긍정적 정서경험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학교 성교육 표준안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도 분석
- 청소년의 또래애착, 사회적 책무성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