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 교육과정 표준화의 방향과 의의

이용수  1,152

영문명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Curriculum Standardization in German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이화(Kang E wh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1호, 305~3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이후부터 점차적으로 핵심역량과 성취 기준을 교육과정의 주요한 요소로 받아들여 왔다. 그러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은 그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그 성격과 지위를 둘러싼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 구는 독일의 국가 교육과정 표준을 통해서 이러한 비판을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하 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독일은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총론에 해당하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표준과 교육과정 각론에 해당하는 주 수준의 교과 교육과정으로 구분되어 있다. 독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표준에는 교육과정에 관한 세 가지 기본 방향이 제시되어 있다. 교육목표는 역량을 중심으로 설정하고, 교육내용은 성취표준을 중심 으로 선정하고 진술하며, 교육평가는 교육의 질을 관리하는 방향을 취한다는 것이 바로 그 방향이다. 또한 독일은 국가수준에서는 역량 및 성취표준의 성격을 규정하 고 각 주수준의 교과 교육과정에서 그것을 구체화하도록 하였다. 독일의 이러한 시 도는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핵심역량과 성취기준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여러 가지 문 제를 해결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교육과정의 이러한 입장에 근거하여 총론 수준의 핵심역량과 각론 수준의 핵심역량 사이의 괴리,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의 불분명한 관계, 성취기준의 불명확한 지위 등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겪 고 있는 문제점을 시론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였다.

영문 초록

Achievement Standards and Key competencies have appeared in the Subject Curriculum since the 7th revised curriculum, but they also have been criticized due to their vague and unclea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ndards of the German curriculum and its implications. In Germany, detailed provisions for standards and competencies as well as the way to reflect them in subject curriculum in a national level were written in “German language” and “Math” curriculum in 2003. The state government established th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each subject and developed the subject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rhetorically various problems appeared in the Korean curriculum, especially focused on the gap between key competencies in introduction and details, unclear relations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vague posi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목차

Ⅰ. 서 론
Ⅱ. 독일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의 기본 방향
Ⅲ. 독일 주 수준 교과 교육과정의 체제 및 내용
Ⅳ. 독일 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이화(Kang E wha). (2015).독일 교육과정 표준화의 방향과 의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11), 305-325

MLA

강이화(Kang E wha). "독일 교육과정 표준화의 방향과 의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2015): 305-3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