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School Change Has Occurr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General High School in Rural Are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정(Park, Soojung) 맹재숙(Maeng, Jaesook) Chen Peng(Chen, Peng) 박선주(Park, Sun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7호, 163~18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7.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농촌 지역 일반고등학교에서 일어난 변화의 출발점과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변화의 특성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장,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면담과 관찰을 실시하였고, 교육활동 산출물과 학교 관련 연구물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변화의 목표 설정은 학교장 단독 결정으로 이루어졌으나 교사들이 이를 수용하고 동참하게 된 데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였다. 그 중 하나는 교장이 설정한 목표가 교사들이 공감할 수 있는 목표라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교장과 교사 간에 열정, 공감, 신뢰, 선호, 희생 등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작용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학교 내적, 외적 조건이 열악한 상황에서 변화의 물꼬를 트는 작업은 외부의 정책 활용을 통해 이루어졌다. 정책적인 지원은 지역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에 투입되었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변화는 성장해가는 또래나 선배를 관찰하면서 확산되었고, 선배에서 후배로 이어지는 전통의 전수를 통해 변화의 지속가능성을 높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변화에 지원적인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look into the start of the changing process of general high school in rural a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changes during the operational proces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data obtained through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monitoring focused on the principal,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urther more, the educational activity’s outputs and the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sampled school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reasons why the teachers accepted and participated in performing the goal principal developed unilaterally, which are the agreeable goal and the positive emotions such as passion, empathy, trust, sacrifice among the members. Second, in the poor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 catalytic work for the change in school was made through the external policy. Students’ change appeared on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Lastly, students’ change was influenced by observing the growth of peers or senior. This positive precedent showed the sustainability of the change through passing on know-how from the senior students to juni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학교변화의 과정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관 전시물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연계 교재, 대학 수학 능력 영어 시험의 어휘 수준 및 이독성 비교 연구
-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타인 배려의 관계 분석
- 초등 영어교사의 발음교육 인식 및 실제
- 학교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 초·중·고 학부모와 학교의 소통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학생의 정서문제와 학교적응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및 쟁점
- 예비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정체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중학교 역사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 교사를 위한 심리적 어려움 및 지원에 대한 인식
-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육에서 진선미(眞善美)관점으로 비추어본 ‘좋은 수업’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방안 탐색
- 예체능계 대학생의 학술적인 글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텍스트 분석
- 학부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과목 운영 과정에서의 교사 피드백 연구
- 마인드맵(mind map)을 활용한 중학교 3학년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스템 사고 분석
- Strengthening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es in Foundation Courses: Contents Analysis Study in Universities in South Korea
-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 초등 과학영재의 집단 창의성 발현을 돕는 전략으로써 디자인적 사고의 가능성 탐색
- 균형적 접근법 기반 영어지도가 초등학생 영어문해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여자 대학생의 진로결정 요인 구조분석
- 유아요리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인지치료와 명상을 기반으로 한 분노 조절 융합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신생아 간호 임상 실습 경험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및 시뮬레이션 교육 요구 조사
- K교사의 교육 연극 수업에 대한 비평적 고찰
- 세계문화유산의 교육적 활용 경향과 가치 탐색
- 이공계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 및 대처전략 간의 관계
-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및 대학ㆍ전공 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 사우디아라비아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연구
- 중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관계 분석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수신뢰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화간 감수성과의 관계에서 문화정체성의 매개효과
- 디지털 시대에 최적화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측정도구 개발
- Bruner의 논의에 기초한 수업의 문화생태학에 대한 시론
- 사회복지전공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 영향요인
- 초등저학년 읽기부진아동의 구문지식 및 구문인식능력
-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아학대 인식이 영아학대 행위에 미치는 영향
- Structural Causes Affecting the Mobile Learning Behavior
- Students Perceptions on English Grammar Learning and Instruction in a College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수업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 도형의 닮음 이슈와 과제 변형의 관계 분석: 중등 예비교사의 제1형 딜레마 해결 전략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