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쎄사미드라마테라피에서 치료사와 내담자 간에 ‘공유되는 공간(the shared space)’의 특성과 의미에 대한 연구
이용수 163
- 영문명
- ‘The shared Space’ between Therapists and Clients using Movement with Touch in the Sesame dramatherapy
- 발행기관
-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박진경(Jin K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제1권 제1호, 5~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증지적장애 성인과의 쎄사미드라마테라피 세션 경험을 통해서, 비언어적 접근방법인 움직임, 소리, 터치 등의 방법이 치료사와 내담자 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유되어지는 치료적인 공간을 만든다는 가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내담자와 치료사 사이에 공유되어지는 공간을 ‘공유되는 공간(the shared space)’이라 명명하고 그 특성과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문헌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문헌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동양철학인 도가사상, 융의 연금술, 동양 미학, 신비체(subtle body)개념 등을 중심이론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공유되는 공간(the shared spce)’의 특징은 첫째, 변화와 변형을 이끄는 다양한 가능성을 포함하는 잠재적인 공간((potential space). 둘째, 서로 다른 요소들의 충돌과 통합으로 혼란이 만들어지는 ‘무질서의 공간(Chaotic space)’. 셋째, 양극이 존재하는 ‘역설적인 공간(paradoxical space), 넷째, 비언어적 접근이 만드는 간접적이고 애매모호한 ’분명히 규정되지 않는 공간(ambiguous space)으로 볼 수 있다. ‘공유되는 공간’의 특징인 ‘혼돈’의 의미는 변화를 이끄는 필수적인 요소이며, 내담자 안의 모순과의 수용과 통합을 이끄는 과정이다. 또한, 유연성과 변화가능성을 내포한 ‘애매모호함’, ‘불명확함’의 특징은 치료사와 내담자 간의 광범위한 다름을 허용할 수 있게 만들어 진정한 공감과 이해를 이끌어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my experiences working with the cli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my placement during my Sesame course in UK. I thought that ‘the shared space’ between Therapists and Clients can allow to differences between Therapists and Clients, and it will be lead to the change and transformation for clients’ development. In this study, it was illustrated four qualities of ‘the shared space’ by Taoism, Alchemy symbol and Subtle Body concept. First. it is a potential space. Second, it is a Chaotic space. Third, it is a Paradoxical space. Forth, it is an ambiguous space.
Movement with Touch is nonverbal communication way using our body, and it can create more complex space than the space created by verbal way. ‘The shared space’ which allows for contains various differences can lead to experiences being shared between therapists and clients, and this may become flexible, spontaneous, and changeable. These qualities of ‘the shared space’ might create effective space to share different experiences between therapists and clients in conscious and unconscious level, and therapists would be able to work with confusion in the therapeutic place using Movement with Touch.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공간의 의미
Ⅲ. 쎄사미연극치료에서의 치료사와 내담자의 ‘공유되는 공간(the shared space)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복합 외상을 경험한 슈퍼바이지의 역량 강화를 위한 슈퍼비전 연구: 신체심리치료와 현대정신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 친족 성폭력 피해 청소년의 치유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경험 사례 연구
- 무용 동작 학습 메타인지 교수:학습 전략 기초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1호 목차
-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대상아동의 자기표현과 관계성향상을 중심으로
- 음악적 동작 중심의 집단 음악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 표현력 및 사회적 기술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