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에서의 과로자살 법리에 대한 소고
이용수 202
- 영문명
- Overwork Suicide and the Law in Japa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송강직(Song, Kang Jik)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28卷 第2號, 245~27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oblem of the overwork suicide or a death from overwork(it is generally called ‘karousi’ of the Japanese language) in Japan is well known to the world. The most recent case of the suicide occurred in the Dentuu of a advertising company.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reformed labor systems to prevent the suicide or a death from overwork from occurring in Japan. One of them is reducing working hours. On the other side many systems for keeping an employee s mental health are introduced in the labor legislations and regulations or guidelines concerned.
The Government s efforts or reforms above are as follows:
The Labor Standards Act strictly restricts an extended work by a written agreement between an employer and a representative of an employee. That is to say, it is that the extended work is restricted only in temporary reason. Simultaneously the Government issues guideline with respect to checking working hours of its employees by its employer.
On the other hand the Labor Safety and Health Act introduces an interview instruction system to protect an employee s mental health. The Death from Overwork Prevention Countermeasure Promotion Law is, futhermore, enacted in 2014. The DOPCPL also has a goal of restricting long working hours, but it focus on responsibilities for pursuing policies of reducing working hours by the Government and a Local Government.
목차
Ⅰ. 서설
Ⅱ. 근로시간제도와 과로사·과로자살 예방 관련 제도 등
Ⅲ. 산업재해와 과로자살 통계
Ⅳ. 과로자살과 산업재해 법리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업주의 안전배려의무의 사정(射程)범위에 관한 소고
- 미국의 법관선거제도와 선거 연설 및 선거 기부에 관한 쟁점에 대한 논의
- 한국 상법의 총칙 및 상행위 편에서 나타나는 민법의 지위에 관한 소론
- 자연환경국민신탁정관
- 부당노동행위에 있어 지배·개입 의사에 관한 일고
-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당법’ 개선에 관한 연구
- 성과연봉제 가처분 사건의 법적 쟁점과 분석
- 일본에서의 과로자살 법리에 대한 소고
- 한·중 시장지배적지위 남용에 관한 비교연구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구상권의 본질과 제3자로서의 공무원 -대법원 2003. 12. 26. 선고 2003다13307 판결을 중심으로-
- 해외지급보증수수료의 이전가격과세에서 정상가격 산출방법의 위법성 판단 근거 및 실무상 운용의 문제점
- 제조물책임법상 ‘개발위험의 항변’의 필요성 여부에 관한 소고
- 가상통화 생성방식에 따른 유형별 법적 규제방안 연구 -발행주체의 존재여부를 중심으로-
- 독일의 집단적 소송제도 최신 동향 -시범확인소송(Musterfeststellungsklage) 도입과 관련하여-
- 자치경찰제 논의와 법정책적 소고
- 改正 親生推定制度에 대한 평가
- 청원경찰제도에 대한 노동법적 재조명
- 근로관계에서 사용자의 취업시킬 의무와 근로자의 휴식
-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에 관한 최신 쟁점
- 환경보호를 위한 국민신탁법과 자연환경국민신탁의 특징과 문제점에 관한 소고
- Legislative Systems based on the Chinese Constitution and Legislative Systems based on the Separation of powers
- 중국의 도시부동산관리법의 이해
- 형법상 정당방위의 요건에 대한 비판적 이해
- 소비자정책 평가체계의 법적정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