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Leigong-Huangdi’s Medical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의사학회
- 저자명
- 강민휘(Min Whee Kang) 김기욱(Ki Wo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의사학회지』제30권 제2호, 83~1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Review of the systematized medical theory of Huangdi within the first series of conversations including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Leigong and Huangdi.
Conclusions:
1. “Huang-di-Nei-Jing” records the 5 theories ofHuangdi’s system ofthinking (黃帝學派).Among these,the contents ofthe questions and answers with Leigong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of Huangdi’s treatises.
2. In the questions and answers exchanged between Leigongand Huangdi, the Suwen (素問)Chapter deals with the areas of Yinyang, Zangfu, Causeand Mechanism of diseases, as well as medicalethics. Moreover, the Lingshu(靈樞) Chapter discusses distribution of meridian system, routes of circulation of energies, symptoms, acupuncture the rapy and diagnosis, etc.
3. CharacteristicsofthemedicineofLeigongandHuangdicanbesummarizedasfollows:
Firstly, 12 meridian systems of the 「Jingmai(經脈)」 section describes the meridian system that ceaselessly circulates in the shape of loops with the innerandouteraspectslinkedwitheachother. 
Secondly, regarding the methods of diagnosis, the 「Yinyangleilun(陰陽類論)」 section describes the method of diagnosis through palpation of pulse. Inaddition, the「Wuse(五色)」 section describes visual diagnosis that uses five colors. The Wuhang combination of spleen, liver, kidney of 「Shicongronglun (示從容論)」 sectional so includes the Wuhangtheory of Jinwenshangshu(今文尙書) . The「Wuse」 section discusses area soft he face and five colors, while the 「Yinyangleilun」 discusses the ‘Yinyancixiongmaifa(陰陽雌雄脈法)’,the「Jingmai」 discussesthe ‘Yinyancunkoumaifa(人迎寸口脈法)’, and the 「Zhengsishilun」 and 「Fangchengshuailun」 discuss‘chifuzhenfa(尺膚診法)’.
Thirdly, Huangdi’s school of thinking did not neglectbencao(本草) and tangye(湯液), which are discussed in the 「Jiejingweilun」 and 「Shicongronglun」 sections.
                    목차
Ⅰ. 序論
	                       
	                          Ⅱ. 本論
	                       
	                          Ⅲ. 結論
	                       
	                          參考文獻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