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근대 유치원의 기원과 성격에 대한 비판적 재고* - ‘私立明信高等女學校附屬幼稚園’ 설립 규칙을 중심으로 -
이용수 331
- 영문명
- A critical inquiry of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 kindergarten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저자명
- 정선아(Chung, Shun Ah) 김병길(Kim, Byoung Gill)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6권 제2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근대 유치원 교육의 기원과 성격은 서구유치원제도의 도입과 우리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한교육에 그 근간을 두고 규명한 결과, 당시 수많은 유치원이 설립되고 운영되었음에도 이의 현실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유치원의 운영 및 설립 주체, 성격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 이다. 이는 한국 근대 유치원 교육의 기원과 복합성을 조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본 연구는 한국 근대 유치원 교육의 역사 지평을 넓히기 위하여 그간 간과되어 왔던 1900년대 초반 여학교에 부설로 설립된 유치원의 성격을 재조명하여 유치원 교육 기원의 복잡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명신여학교는 사립 여학교로는 최초로 유치원 설립 규칙을 학교 규칙에 포함시켰 다. 사립 명신여학교는 당시 식민화 정책, 기독교로 대변되는 서구적 가치, 민족주의에 기반한 조선 전통이 상호 길항하는 혼종적 국면속에서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유치원을 설립운영하지 못하였지만 사립 명신여학교의 유치원 설립 규칙에 나타난 유치원 운영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인 유아를 위한 유치원 설립을 시도한 명신여학교의 이념적 모태가 되었을 근대 수신교과 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통 교육과 서구 제도로 알려진 유치원 교육이 어떻게 조응하며 전통을 계승하고 근대의 새로운 이념과 길항하였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 결과, 명신여학교의 유치원 설립 규칙은 현재의 유치원 교육과정과 같이 유치원의 설립 목적, 보육과목, 대상 연령, 원아수, 재원시 간, 운영시간, 휴업일, 학생기록부, 휴원 규정 등 내용이 매우 상세하게 수록하고 있어, 운영의 실제를 엿볼 수 있었다. 또한 명신여학교에서 채택하고 있던 근대 수신교과서는 전통 여성교육과 유치원 교육이 남녀평등, 덕육, 지육, 체육의 조화 즉 양성평등과 전인발달을 이루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서구적 가치와 전통 교육을 연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origin and character of modern kindergarten education through reviewing a case of kindergarten principle of Myungsin Women’s High School.
In addition, the kindergarten principle of Myungsin Women’s high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imperial family and royal women reflected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In this respect, he character of modern kindergarten needs to be extended from introduction of Western education system to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 The origin and character of kindergarten is always written based on the Westernized modern kindergarten system and education of Korean children.
Accordingly, many of kindergartens established in Korea were not introduced as well as dealt in the history of kindergartens. In oder to restructure and elaborate its history, we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first principles of kindergarten affiliated women’s high school in 1908. Especially, Myungsin Women’s school regulation specifically indicated the rules to establish the kindergarten, such as purpose, subjects, children’s age, duration time, running time, student records, holidays, and etc. The rules are not different from current regulations for establishing daycare and kindergarten.
In addition, Myungsin women’s high school education adopted moral education by using ‘Soo-Sin’ textbook which succeeded Korean tradition. Accordingly, its kindergarten education would have been based on the similar contents. What we argue here is that the history of kindergarten was an encountering between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Western modern education. In other words, kindergarten education as well as women’s school education was a hybrid and competition between Korean tradition and Western modern education.
목차
I.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Ⅱ. 미완의 기원
Ⅲ. 사립 유치원 규칙의 효시
Ⅳ. 유치원 교육의 이념적 모태로서 근대 수신교과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