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잠의 생활화: 출산 직후 양육기 여성의 수면 양상과 특징 분석
이용수 282
- 영문명
- Scattered Sleep: Analysis of Postpartum Mother’s Sleep and its Im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문현아(Moon, Hyuna) 전지원(Jun, Jiweo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9집 4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양육 초기 여성의 수면 형태 및 그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여성의 수면이 가정 내 젠더 분업이라는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분석했다. 출산 후 2년 이내의 여성 13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출산 직후부터 아기를 기르는 양육 초기의 기간 동안 여성들의 수면이 구체적으로 어떤 양상을 보이며, 어떤 특징으로 범주화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여성들은 출산 직후부터 초기 양육기 내내 아기의 필요에 응하기 위해 한밤중 잦은 수면 중단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안일 등 다른 부담으로 인해 잠자리에 드는 시간이 늦어지고, 일상적 수면 중단으로 인해 얕은 잠이 습관화되는 등 수면의 양과 질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수면 부족의 문제는 양육 초기 여성이 호소하는 지속적 피로감과 우울감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양육 초기 여성의 수면부족이 단순히 개인적인 사안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정 내 젠더분업 및 한국사회의 과도한 근무시간 등 사회적 맥락과 맞닿아 있음을 보임으로써 여성의 수면을 사회적 의미와 연결해 살펴보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sleep of mothers with babies in Korea. In particular, we looked at how the pattern and meaning of women’s sleep changes with the birth of baby, and how it is related with the social context such as gendered division of labour. Interviewing thirteen mothers who gave birth within a year, we found that lack of sleep and scattered sleep became a normal pattern for these mothers due to the constant care responsibility during the night, which led to negative health outcomes such as tiredness, exhaustion and even depression.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not only the biological needs such as breastfeeding, but also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ur and the long-working hour in Korea are main factors that explain why mostly Korean mother’s, rather than father’s sleep are affected after the birth of bab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틀
Ⅲ. 중단되는 ‘밤’의 수면: 양육기 여성의 수면 실태
Ⅳ. 양육기 여성 수면 부족의 의미와 사회적 맥락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