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하학적 방법을 통한 이차곡선 접선의 작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3
- 영문명
- A Study on Construction of Tangent Line of Quadratic Curves Through Geometric Method
- 발행기관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허남구(Heo, Nam Gu)
- 간행물 정보
- 『과학영재교육』제6권 제3호, 125~13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등학교 기하 영역에서 이차곡선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는 대수적인 방법과 해석적인 접근만을 통해 지도하고 있어 학생들은 기하학적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기하학적 작도를 활용한 이차곡선을 지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하지만기하학적 작도를 활용하여 이차곡선의 접선을 작도하는 연구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논문은 기하학적 작도를 통하여 이차곡선의 접선을 작도하는 방법과 증명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School mathematics emphasize that students express the quadratic curves as equation and
manipulate it algebraically. Without geometrical learning, student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geometrical property of
quadratic curves. Many researchers suggest a geometric construction for students to explore the quadratic curve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research concerning the geometrical method for teaching a tangent line of the quadratic
curves.
In this paper, we suggest a construction of tangent line of quadratic curves through geometric method.
목차
I. 서 론
Ⅱ. 이차곡선의 접선 작도
Ⅲ.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