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산간지 적응 조숙 고식미 벼 신품종 ‘금영(金穎)’
이용수 11
- 영문명
- A New Early Maturing Rice Cultivar with High Quality and Good Taste, ‘Geumyeong’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정진일 박현수 강종래 남민희 곽도연 김정일 송유천 여운상 신문식 이종희 김대식 박노봉 박동수 이기환 조준현 김춘송 강항원 고재권 안진곤 김정곤 황흥구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2 No.3, 272~275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금영’은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2009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고식미 품종으로 주요 특성과 수량성을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7월 29일로 오대벼보다 1일 빠른 조생종이다.
2. 간장, 수장 및 수당립수가 오대벼와 비슷하며 등숙률이 높고 현미 천립중이 가벼운 중소립종이다.
3. 위조 현상이 없고 성숙기 하엽 노화가 늦으며 불시 출수가 오대벼보다 적게 나타나나 수발아는 오대벼보다 약간 잘 되는 편이며 내냉성은 오대벼와 비슷하다.
4. 잎도열병에 저항성이나 기타 내병충성은 약하다.
5. 쌀의 외관 품위가 맑고 투명하며 밥맛이 오대벼보다 우수하고 도정 특성이 오대벼보다 좋다.
6. 수량성은 보통기 보비 재배에서 5.53 MT/ha이고, 만기 재배에서는 5.04 MT/ha으로 오대벼와 금오벼에 비하여 각각 5%와 4% 증수되었다.
영문 초록
‘Geumyoung’ is a new early maturing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ambaegbyeo and Iksan423/ Sangju22 at Sangju Substation, NICS, RDA, Korea in 2009. It needs about 116 days from seedling to harvest in mid-mountainous areas. This cultivar has about 72 cm long culm and 19 cm long panicle, which are similar to Odaebyeo. It has higher panicle number per plant, medium to small grains and sometimes has a few awned spikelets. It shows tolerance to cold and resistance to blast but is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virus diseases, and insects and pests. Milled rice of ‘Geumyoeng’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and medium short grain. It has about 18.0% amylose and 6.6% protein content with goo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e milled rice yield of this cultivar was 5.53 MT/ha under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Geumyong’ 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in the northern plains, and norther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s of South Korea.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 용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만생 저아밀로스 반찹쌀 품종 ‘만미(萬味)벼’
- 겹꽃 분화용 할미꽃 신품종 ‘겨비’
- 중부지방 적응 고품질 중생 복합내병성 벼 신품종 ‘미광’
- A New White Waxy Corn ‘Daedukchal 1’ Hybrid with High Yield and High Table Quality
- 성숙이 빠르고 기름함량이 높은 종실용 들깨 신품종 ‘안유’
- 조숙, 다수성, 올레인산 고함유 유채 신품종 ‘조망’
- 조생 흑자색 찰벼 품종 ‘조생흑찰’
- 검정콩 대립 내도복 신품종 ‘대흑’
- 절화수명이 긴 백색 스탠다드 장미 ‘스노우 볼’ 육성
- 남부지역 적응 조숙 다수 조사료용 월동귀리 신품종 ‘조풍’
- A High Yield and Processing Potato Cultivar ‘Taedong Valley’
- 질소 소비료 적성 고양식미 벼 신품종 ‘청해진미’
- 절화수명이 긴 백색 중형 스탠다드 장미 ‘Honey Lemon’ 육성
- 중남부지역 적응 내한 다수 조사료용 월동귀리 신품종 ‘광한’
- 양파 조생계 웅성불임 중간모본 ‘원예 30002’
- 중산간지 적응 조숙 고식미 벼 신품종 ‘금영(金穎)’
- 평야지적응 극조생 내도열병 고품질 벼 신품종 ‘조운’
- 양파 중생계 웅성불임 중간모본 ‘원예 30001’
- 돌연변이 육종에 의한 재래종 서리태 개량 신품종 콩 ‘조생서리’
- 중만생 고품질 복합내병성 벼 신품종 ‘호농’
- 자가불화합성 종간교잡종 할미꽃 신품종 ‘연홍’
- 버들송이 신품종 ‘참’의 특성
- 화형과 화색이 우수한 적색 스탠다드 장미 ‘노블레드’ 육성
- 연황색 겹꽃 다화성 절화용 프리지아 신품종 ‘Shiny Lemon’ 육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