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ew Perilla Cultivar for Edible Seed ‘Anyu’ with Early Maturity and High Oil Content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이명희(Myoung-Hee Lee) 하태정(Tae-Joung Ha) 정찬식(Chan-Sik Jung) 배석복(Sug-Bok Pae) 황정동(Jung-Dong Hwang) 한상익(Sang-Ik Han) 박장환(Chang-Hwan Park) 박금룡(Keum-Yong Park) 이석기(Suk-Ki Lee) 박충범(Chung-Berm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2 No.3, 218~221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안유’는 종실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품종육성을 위하여 YCPL 1824를 모본으로 하고, SF9225-3-1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SF98024-2B-4-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밀양46호이며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유’는 잎모양은 피침형이며, 엽뒷면색이 자색이고, 화색은 자색, 종자는 진갈색의 구형이다.
2. 노지재배시 경장이 120 cm로 경장이 낮아 도복에 유리하며 화방군수가 많고 화방군장이 길다.
3. 기름함량이 44.7%로 표준품종인 새엽실들깨에 비하여 높고 리놀렌산은 61.2% 함량을 가지고 있다.
4. ‘안유’는 ’00~’01년 2개년간 하계에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평균 수량 1.21 MT/ha로 표준품종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5개 지역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에서는 0.99 MT/ha로 표준품종의 82% 수준이었다.
영문 초록
‘Anyu’, a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cultivar for edible seed was developed by the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08. It was originated from the cross between a pedigree of YCPL1824 as a female and SF9225-3-1 as a male parent in 1998. ‘Anyu’ can be characterized by purple flower color and brown grain color. ‘Anyu’ showed semi-dwarft type with 120 cm height, and has lodging tolerance. Maturing date of ‘Anyu’ was September 24, which is 15 days faster than that of ‘Saeyeopsil’. The early maturity of this new cultivar showed a great advantage to various planting system with other crops. This new cultivar has high oil content (45%) and high linolenic acid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The yield potential of ‘Anyu’ was about 0.9 ton/1ha in the regional yield trial.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 용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만생 저아밀로스 반찹쌀 품종 ‘만미(萬味)벼’
- 겹꽃 분화용 할미꽃 신품종 ‘겨비’
- 중부지방 적응 고품질 중생 복합내병성 벼 신품종 ‘미광’
- A New White Waxy Corn ‘Daedukchal 1’ Hybrid with High Yield and High Table Quality
- 성숙이 빠르고 기름함량이 높은 종실용 들깨 신품종 ‘안유’
- 조숙, 다수성, 올레인산 고함유 유채 신품종 ‘조망’
- 조생 흑자색 찰벼 품종 ‘조생흑찰’
- 검정콩 대립 내도복 신품종 ‘대흑’
- 절화수명이 긴 백색 스탠다드 장미 ‘스노우 볼’ 육성
- 남부지역 적응 조숙 다수 조사료용 월동귀리 신품종 ‘조풍’
- A High Yield and Processing Potato Cultivar ‘Taedong Valley’
- 질소 소비료 적성 고양식미 벼 신품종 ‘청해진미’
- 절화수명이 긴 백색 중형 스탠다드 장미 ‘Honey Lemon’ 육성
- 중남부지역 적응 내한 다수 조사료용 월동귀리 신품종 ‘광한’
- 양파 조생계 웅성불임 중간모본 ‘원예 30002’
- 중산간지 적응 조숙 고식미 벼 신품종 ‘금영(金穎)’
- 평야지적응 극조생 내도열병 고품질 벼 신품종 ‘조운’
- 양파 중생계 웅성불임 중간모본 ‘원예 30001’
- 돌연변이 육종에 의한 재래종 서리태 개량 신품종 콩 ‘조생서리’
- 중만생 고품질 복합내병성 벼 신품종 ‘호농’
- 자가불화합성 종간교잡종 할미꽃 신품종 ‘연홍’
- 버들송이 신품종 ‘참’의 특성
- 화형과 화색이 우수한 적색 스탠다드 장미 ‘노블레드’ 육성
- 연황색 겹꽃 다화성 절화용 프리지아 신품종 ‘Shiny Lemon’ 육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of Azerbaijani Grape Varieties (Vitis ssp.) by Using ISSR Markers
- Valid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Breeding High Antioxidant Traits in Thai Rice
- Efficient Seed Sterilization and Protoplast Isolation in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L.) Gaert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