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 2007년과 2017년 비교분석과 논의

이용수  1,266

영문명
Exploring Perception Changes on Importance of Job Model for Lifelong Educator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김진화(Kim, Jin Hwa) 신다은(Shin, Da Eun)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3권 제4호, 55~8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사회에서 평생교육사의 직무는 평생교육법 전부 개정이 이루어졌던 2007년 직무분석을 통해 9개의 책무 및 72개의 과업이 설정되었고, 중요도가 확인되었다. 그 이후에 10년이 지난 최근 까지 평생교육사가 담당하는 주요 직무의 중요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에 대한 10년의 인식변화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에 대한 거시적 차원의 인식변화는 ‘교수학습’과 ‘상담·컨설팅’, ‘평가·보고’의 3개 책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사 직무 중에서 2007년과 2017년의 전반적인 중요도가 높은 책무는 ‘조사·분석’, ‘기획·계 획’, ‘네트워킹’, ‘프로그램 개발’, 낮은 책무는 ‘교수·학습’, ‘상담·컨설팅’, ‘평가·보고’로 나타났으며, 2007년 대비, 2017년에 중요도가 부각된 것은 ‘운영·지원’, 중요도가 낮아진 것은 ‘변화촉진’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평생교육사 직무중요도에 대한 의미 있는 구조패턴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사 직무중요도의 인식에 대한 변화가 평생교육사의 실질적인 직무 수행에 반영된 결과이므로, 평생교육사의 양성체제와 연수 및 승급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평생교육현장에서 평생교육사가 수행하는 주요 직무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지식과 정보의 재구조화와 확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Lifelong educator’s job model in Korean society included nine duties and 72 tasks and their importance was proved through job analysis in 2007.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or’s duties and tasks included in the job model have steadily changed between 2016 to 2017.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ir duties and tasks over 10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macro-level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ors’ dut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ree responsibilities. Second, out of their nine duties, four duties such as investigation and analysis, designing and planning, networking, and developing programs indicate high continuing perception of importance in 2007 and 2017. Three duties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counseling consulting and evaluation reporting indicate low perception of importance. The duty of supporting operation indicate higher in 2017 than in 2007, and the duty of changing facilitation indicate lower in 2017. Third, meaningful changes in structural pattern of the importance of their dutie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nge in the importanc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ors’s duties were reflected in their actual performance of duties, such change should be reflected in the system to cultivate and train them and the process to promote them.

목차

Ⅰ. 서론
Ⅱ.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화(Kim, Jin Hwa),신다은(Shin, Da Eun). (2017).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 2007년과 2017년 비교분석과 논의. 평생교육학연구, 23 (4), 55-84

MLA

김진화(Kim, Jin Hwa),신다은(Shin, Da Eun). "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 2007년과 2017년 비교분석과 논의." 평생교육학연구, 23.4(2017): 55-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