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lection of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Germplasm for Improvement Anti-diabetic Compound Contents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김애경(Ae Kyung Kim) 이희주(Hee Ju Lee) 오명민(Myung-Min Oh) 이우문(Woo Moon Lee) 이상규(Sang Gyu Lee) 채원병(Won Byoung Chae) 최학순(Hak Soon Choi) 양은영(Eun Young Yang) 허윤찬(Yun Chan Huh) 박동금(Dong Kum Park) 김수(Su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5 No.4, 332~33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is an important vegetable crop of several countries in the tropics. Although
bitter gourd fruits contain bioactive components with many important medicinal properties, it is usually grown as an ornamental in Korea. Bitter gourd has recently received growing attention due to its anti-diabetic compound in immature fruits. But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its cultural practices and functional compon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harantin, anti-diabetic compound, contents among germplasm to select accessions with high charantin content in bitter gourd. The charantin content of bitter gourd fruits were investigated in 15 days after fruit setting among 31 accessions of bitter gourd by HPLC. Thecontents of charantin and yields ranged from 15.1 to 161.4 μg·g-1 dry-weight basis and 221 to 2,097 g by a plant, respectively.
Five accessions, ‘K169998’, ‘K042800’, ‘K170002’, ‘Hwanock’ and ‘Nockwoo’ showed highest charantin contents as 143.7,104.6, 103.5, 161.4, 101.1μg·g-1 , respectively.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for selection methods to determine bitter gourd accessions with highest charantin content, which have a potential to be an anti-diabetic diet. Future breeding and genetic emphases in bitter gourd improvement should be placed on the development of nutritious, high-yielding cultivars with superior resistance to major and exceptional fruit quality. This study can be used for preliminary data in stable, high quality bitter gourd production and sele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underlying mechanism determining charantin content variations in different fruit maturation stages in bitter gourd.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추대 다수성 적축면 ‘고홍’ 육성
- 일품벼 돌연변이 유래 고아밀로스 벼품종의 저항전분 특성
- 깁스용액 분무에 의한 고추 생과의 신속한 캡사이시노이드 검출법 개발
- 단경 대립 내병성 땅콩 신품종 ‘보원’
- 소비료 재배 적응 중만생 고품질 벼 신품종 ‘소다미’
- 다수성 총체 사료용 벼 품종 ‘목양’
- 중부평야지 적응 고품질 복합내병성 벼 ‘중생골드’
- 내도복 보리호위축병저항성 겉보리 ‘다혜’
- 맛과 당도가 뛰어난 단옥수수 신품종 ‘구슬옥’
- 단경 내도복 다수성 땅콩 신풍종 ‘연풍’
- 감마선 조사에 의한 국화 화색변이체 선발과 식물체 재생
- 더뎅이병 저항성 감자 신품종 ‘제서’
- 깨씨무늬병에 강한 벼 중만생 고품질 ‘서명’
- 루브라참나무 23개 산지간 생장특성 및 수간 통직성 비교
- 염류 저항성 다수성 인삼 신품종 ‘천량’
- 개화시기조절 유전자의 작물에서의 응용
- 양파 중생계 웅성불임계통 ‘원예30004’
- 양파 조생계 웅성불임계통 ‘원예30003’
- 극조생 내도열병 다수성 찰벼 ‘청백찰’
- 혈당조절기능 물질 함량이 높은 여주 유전자원 선발
- 딸기 유전자원의 안토시아닌 함량 변이와 색차계를 이용한 안토시아닌 함량 추정
- 전분용 고구마 신품종 ‘전미’
- 벼 중생 고품질 직파 및 이앙 재배 겸용 ‘수안’
- 중생, 내도복 다수성 메조 ‘삼다메’
- 장류용 내병・내도복 다수성 콩 신품종 ‘청아’
- 국산밀에서 농업형질 및 종실 형태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 SSR 분자마커를 이용한 튀김옥수수 자식계통 집단의 구조 및 association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