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산밀에서 농업형질 및 종실 형태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
- 영문명
- Effects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Grain Morphology on Pre-harvest Sprouting in Korean Wheat Cultivar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신상현(Sanghyun Shin) 김경훈(Kyeong-Hoon Kim) 강천식(Chon-Sik Kang) 박종철(Jong-Chul Park) 현종내(Jong-nae Hyun) 박철수(Chul Soo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5 No.4, 346~35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re-harvest sprouting (PHS), which is the precocious germination of the grains in the spike before it is harvest, is
the serious problem in the reduction of end-use quality in whea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PHS tolerance, agronomic and grain characteristics in Korean wheat cultivars were evaluated for two years to improve PHS tolerance in Korean wheat breeding programs. Grain characteristics including 1,000 grain weight and grain size (length, width and thickness), PHS tolerance conducted by the mist spray in the humid chamber (PHS-MS) and germination index (GI), and Agronomic traits including heading date, maturing date, culm length, awn length and the number of grain/spik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 by genotype, yea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year and genotype, except in spike length, the number of spike/m2 and test weight. PHS tolerance and G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1,000-grain weight (r = 0.618, and r = 0.528, respectively) and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grain, although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ronomic traits and PHS tolerance was found in Korean
wheat cultivars. PHS-MS also showed positively correlated with GI value (r = 0.770, P < 0.001). White grain cultivars showed higher PHS-MS and GI values (61.86% and 0.58, respectively) than red grain cultivars (11.89% and 0.18, respectively). White grain cultivars also showed higher values in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grain than red grain cultivars. Among red grain cultivars, Alchan, Goso, Suan and Sukang showed lower values in both PHS-MS and GI (< 2.63% and < 0.05, respectively) and these cultivars could be used to improve PHS tolerance in Korean wheat breeding program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비료 재배 적응 중만생 고품질 벼 신품종 ‘소다미’
- 다수성 총체 사료용 벼 품종 ‘목양’
- 일품벼 돌연변이 유래 고아밀로스 벼품종의 저항전분 특성
- 국산밀에서 농업형질 및 종실 형태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 중부평야지 적응 고품질 복합내병성 벼 ‘중생골드’
- 단경 대립 내병성 땅콩 신품종 ‘보원’
- 만추대 다수성 적축면 ‘고홍’ 육성
- 깁스용액 분무에 의한 고추 생과의 신속한 캡사이시노이드 검출법 개발
- 내도복 보리호위축병저항성 겉보리 ‘다혜’
- 맛과 당도가 뛰어난 단옥수수 신품종 ‘구슬옥’
- 단경 내도복 다수성 땅콩 신풍종 ‘연풍’
- 감마선 조사에 의한 국화 화색변이체 선발과 식물체 재생
- 더뎅이병 저항성 감자 신품종 ‘제서’
- 깨씨무늬병에 강한 벼 중만생 고품질 ‘서명’
- 루브라참나무 23개 산지간 생장특성 및 수간 통직성 비교
- 염류 저항성 다수성 인삼 신품종 ‘천량’
- 개화시기조절 유전자의 작물에서의 응용
- 양파 중생계 웅성불임계통 ‘원예30004’
- 양파 조생계 웅성불임계통 ‘원예30003’
- 극조생 내도열병 다수성 찰벼 ‘청백찰’
- 혈당조절기능 물질 함량이 높은 여주 유전자원 선발
- 딸기 유전자원의 안토시아닌 함량 변이와 색차계를 이용한 안토시아닌 함량 추정
- SSR 분자마커를 이용한 튀김옥수수 자식계통 집단의 구조 및 association 분석
- 전분용 고구마 신품종 ‘전미’
- 벼 중생 고품질 직파 및 이앙 재배 겸용 ‘수안’
- 중생, 내도복 다수성 메조 ‘삼다메’
- 장류용 내병・내도복 다수성 콩 신품종 ‘청아’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종자은행 보존 유전자원 및 토종 유전자원 다양성에 대한 고찰
- 무핵화와 과립 비대를 위한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Stella’ 포도(Vitis vinifera L.)의 과실 특성
- 덕유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과 기후변화 취약종의 수직분포특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