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ew Six-rowed and Covered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Dahye’ with Lodging Tolerance and BaYMV Resistance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김양길(Yang-Kil Kim) 백성범(Seong-Bum Baek) 이미자(Mi-Ja Lee) 김미정(Mi-Jung Kim) 김홍식(Hong-Sik Kim) 현종내(Jong-Nae Hyun) 황종진(Jong-Jin Hwang) 서세정(Sae-Jung Suh) 김시주(Si-Ju Kim) 김재철(Jae-Chul Kim) 정재현(Jai-Hyun Je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5 No.4, 399~40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ahye’, a new covered cultivar derived from the crosses between ‘Suwon318’ and‘Suwon311’ developed at the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7. The initial crossing was made in 1996 and an elite line, ‘SB964008-B-B-B-92’ was selected from under yield trial test in 2004. It was designed as ‘Iksan409’ and showed a high yield and had good quali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from 2005 to 2007. It was released with the name of ‘Dahye’.‘Dahye’had a rate Ⅲ growth habit, green leaf and stem, compact spike and long rough awns. The heading date was April 29 in upland and April 20 in paddy field, which was 2 and 5 days earlier than that of check cultivar,‘Olbori’, respectively. It had 88 cm of culm length, 4.2 cm of spike length and 666 spikes per m2, 52 grains per spike, 35.6 g of 1,000-grain weight and 702 g of test weight.
It showed stronger winter hardiness and higher resistance to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than those of check cultivar.
It had similar protein content with check cultivar and higher whiteness and diastatic power (DP) than those of Olbori. The average yield of the pearled grain in the regional yield trial (RYT) was 4.00 ton ha-1 in upland and 4.11 ton ha-1 in paddy field.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that the daily minimum mean temperature is above -8℃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추대 다수성 적축면 ‘고홍’ 육성
- 일품벼 돌연변이 유래 고아밀로스 벼품종의 저항전분 특성
- 깁스용액 분무에 의한 고추 생과의 신속한 캡사이시노이드 검출법 개발
- 단경 대립 내병성 땅콩 신품종 ‘보원’
- 소비료 재배 적응 중만생 고품질 벼 신품종 ‘소다미’
- 다수성 총체 사료용 벼 품종 ‘목양’
- 중부평야지 적응 고품질 복합내병성 벼 ‘중생골드’
- 내도복 보리호위축병저항성 겉보리 ‘다혜’
- 맛과 당도가 뛰어난 단옥수수 신품종 ‘구슬옥’
- 단경 내도복 다수성 땅콩 신풍종 ‘연풍’
- 감마선 조사에 의한 국화 화색변이체 선발과 식물체 재생
- 더뎅이병 저항성 감자 신품종 ‘제서’
- 깨씨무늬병에 강한 벼 중만생 고품질 ‘서명’
- 루브라참나무 23개 산지간 생장특성 및 수간 통직성 비교
- 염류 저항성 다수성 인삼 신품종 ‘천량’
- 개화시기조절 유전자의 작물에서의 응용
- 양파 중생계 웅성불임계통 ‘원예30004’
- 양파 조생계 웅성불임계통 ‘원예30003’
- 극조생 내도열병 다수성 찰벼 ‘청백찰’
- 혈당조절기능 물질 함량이 높은 여주 유전자원 선발
- 딸기 유전자원의 안토시아닌 함량 변이와 색차계를 이용한 안토시아닌 함량 추정
- 전분용 고구마 신품종 ‘전미’
- 벼 중생 고품질 직파 및 이앙 재배 겸용 ‘수안’
- 중생, 내도복 다수성 메조 ‘삼다메’
- 장류용 내병・내도복 다수성 콩 신품종 ‘청아’
- 국산밀에서 농업형질 및 종실 형태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 SSR 분자마커를 이용한 튀김옥수수 자식계통 집단의 구조 및 association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