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Agricultural Traits and SSR Diversity of Common Bean (Phaseouls vulgaris L. ) from Korea, China and El Salvador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최유미(Yu-Mi Choi) 이수경(Sugyeong Lee) 현도윤(Do yoon Hyun) 윤문섭(Munsup Yoon) 오세종(Sejong Oh) 이명철(Myung-Chul Lee) 이정로(Jeongro Lee) 고호철(Hocheol Ko) 허온숙(Onsook Huh)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7 No.3, 245~25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of total 444 common bean accessions from Korea(296), China (76), and El Salvador (72). Days to flowering were ranged from 41 to 83 days with an average of 61 days. Days to sowing to maturing were ranged from 86 to 143 days with an average of 104 days. Common beans from El Salvador tend to bloom and mature 3 to 7 days earlier than Korea and China accessions. In growth habit, over 50% of Korea and China accessions were indeterminate and climbing type, but 90.1% from El Salvador were Semi-determinate and climbing type.
Qualitative traits were much different among three countries. Eighty-two percentage of immature pod colors were dark pink from El Salvador, but many of those were pale yellow from Korea (77.6%) and China (61.8%). Seed shape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of round, oval, cubic and kidney type, 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those were 30.4% with kidney type. The highest of those was 36.6% with oval type from Korea, 55.3% with kidney type from China and 79.2% with cubic type from El Salvad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on bean from El Salvador were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and China, which is necessary to collect more germplasm from its native and expand genetic diversity of common beans. Four hundred thirty-five common beans from Korea, China and El Salvador were analyzed using SSR markers. Ninety-two alleles were detected with a lowest of 6 at the BM161, BM181 and a highest of 18 at the BM154, BM160. The averag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PIC) was 0.72. To similar with population size among three countries, 292 Korean accessions divided four replications with 73 accessions. As a result genetic diversity was the highest of 0.73 in Chinese populations, while the lowest of 0.48 in El Salvador population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수형 밀의 계통 특성 분석 I. 농업 형질과 관련 유전자 특성
- 방향성 절화용 장미 ‘허니블루’ 육성
- 고추 유전자원의 카로티노이드 조성 및 ASTA color 지수 분석
- 유럽연합 식물신품종보호제도에 대한 고찰
- 중부지역 적응 조생 복합내병성 고품질 벼 ‘중모1023’
- 도복에 강한 흰찰옥수수 단교잡종 ‘하얀찰95’
- 천연색소 C3G 고함유 만생 대립 ‘슈퍼자미2호’ 벼 품종
- 장수형 밀 계통의 특성 분석 II. 밀가루 및 관련 유전자 특성
- Hypo-, Hyper-tetraploid 포도의 수체생육 및 과실특성
- 찰벼 품종별 찰떡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
- 식용 고구마 신품종 ‘다호미’
- 한국, 중국 및 엘살바도르 강낭콩 (Phaseolus vulgaris L.) 유전자원의 농업 특성과 다양성 비교
- 적립계 저단백 수발아저항성 과자용 밀(Triticum aestivum L.) ‘고소’
- 콩 유전자원의 지방함량과 지방산조성 평가 및 유용자원의 선발
- 조사료용 다수성 총체밀 품종 ‘청우’
- 개화 균일성이 좋은 내도복성 유채 중간모본 ‘중모 7002’
- 양배추 육성계통을 이용한 시들음병 저항성과 FocBo1 유전자 발현과의 관계 분석
- 중만생 다수성 찰기장 ‘이백찰’
- 수분수용 고품질 떫은감 ‘파트너’(Diospyros kaki Thunb.) 육성
- 분지발생이 많으면서 약용성분 함량이 많은 구기자 신품종 ‘청광’
- 제초제 저항성 Ab벼와 해충저항성 Bt벼의 성분분석
- 동아시아 재래종 밀(Triticum aestivum L.) 유전자원의 고분자 글루테닌 조성과 숙기 특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방풍 구조물 설치에 따른 옥수수 화분 비산 및 교차수분 저감 효과 연구
- Genetic stability analysis of in vitro micropropagated fire blight-resistant apple rootstocks
-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FLOWERING LOCUS T and TWIN SISTER OF FT floral integrator genes in Pak-choi (Brassica rapa ssp. Chinen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