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zation of Korean Wheat Line with Long Spike. II. Flour Characteristics and Genetic Variations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강천식(Chon-Sik Kang) 손재한(Jae-Han Son) 정영근(Young-Keun Cheong) 김경훈(Kyeong-Hoon Kim) 고윤희(Yun-Hee Ko) 박종철(Jong-Chul Park) 오영진(Young-Jin Oh) 김경호(Kyoung-Ho Kim) 김보경(Bo-Kyoung Kim) 박철수(Chul Soo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7 No.3, 229~23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flour qualities of long spike wheat lines were evaluated. Ash, wet gluten and protein
content of long spike wheat lines were higher than Keumkang(Korean wheat cv.) but SDS-sedimentation volume(SDSF) was lower. Particle size and lightness of flour of long spike wheat lines showed similar to Keumkang. The high positively correlation was presented between protein content and SDSF, wet gluten and particle size, respectively. However, negatively correlation was between protein content and lightness. Through the analysis of molecular markers, we identified the genotypes of four genes, Glu-A3c, Wx-A1a, Wx-B1a and Wx-D1a. These genes had same genotypes with Keumkang. Six genes, Glu-A1c, Glu-B1c, Glu-D1a, Glu-B3g, Pina-D1and Pinb-D1b, were presented in most of the lines. Two genes, Glu-A1 and Glu-B1b, were related to higher protein contents and wet gluten. The lines containing three genotypes, Glu-D1d, Glu-B3h and Pinb-D1b, had higher
ash, protein contents, SDSF and wet gluten, and lightness was darker. Through the results, we expect that long spike type wheat lines are necessary to breed wheat having high yield productivity.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수형 밀의 계통 특성 분석 I. 농업 형질과 관련 유전자 특성
- 방향성 절화용 장미 ‘허니블루’ 육성
- 고추 유전자원의 카로티노이드 조성 및 ASTA color 지수 분석
- 유럽연합 식물신품종보호제도에 대한 고찰
- 중부지역 적응 조생 복합내병성 고품질 벼 ‘중모1023’
- 도복에 강한 흰찰옥수수 단교잡종 ‘하얀찰95’
- 천연색소 C3G 고함유 만생 대립 ‘슈퍼자미2호’ 벼 품종
- 장수형 밀 계통의 특성 분석 II. 밀가루 및 관련 유전자 특성
- Hypo-, Hyper-tetraploid 포도의 수체생육 및 과실특성
- 찰벼 품종별 찰떡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
- 식용 고구마 신품종 ‘다호미’
- 한국, 중국 및 엘살바도르 강낭콩 (Phaseolus vulgaris L.) 유전자원의 농업 특성과 다양성 비교
- 적립계 저단백 수발아저항성 과자용 밀(Triticum aestivum L.) ‘고소’
- 콩 유전자원의 지방함량과 지방산조성 평가 및 유용자원의 선발
- 조사료용 다수성 총체밀 품종 ‘청우’
- 개화 균일성이 좋은 내도복성 유채 중간모본 ‘중모 7002’
- 양배추 육성계통을 이용한 시들음병 저항성과 FocBo1 유전자 발현과의 관계 분석
- 중만생 다수성 찰기장 ‘이백찰’
- 수분수용 고품질 떫은감 ‘파트너’(Diospyros kaki Thunb.) 육성
- 분지발생이 많으면서 약용성분 함량이 많은 구기자 신품종 ‘청광’
- 제초제 저항성 Ab벼와 해충저항성 Bt벼의 성분분석
- 동아시아 재래종 밀(Triticum aestivum L.) 유전자원의 고분자 글루테닌 조성과 숙기 특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of Azerbaijani Grape Varieties (Vitis ssp.) by Using ISSR Markers
- Valid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Breeding High Antioxidant Traits in Thai Rice
- Efficient Seed Sterilization and Protoplast Isolation in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L.) Gaert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