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ob Resources,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ocial enterprises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성한영(Sung, Han-Young) 전인(Jun, In) 오선희(Oh, Sun-Hui)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32卷 第4號, 373~3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문제해결과 재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사회적기업 인적자원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정된 자원의 여건을 극복하기 위한 종업원들의 노력과 열의는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_자원 모델을 기초로 직무자원_직무열의_조직유효성 간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직무자원들 가운데 사회적기업에 적합한 상사지원인식, 인지된 참여적 의사결정 및 직무자율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직무자원들과 조직유효성(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매개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한 (예비)사회적기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3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첫째, 상사지원인식, 인지된 참여적 의사결정, 직무자율성은 사회적기업 종업원의 직무열의에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매개역할과 관련하여, Baron & Kenny의 3단계 분석결과, 직무열의는 상사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를 정(+)으로 매개하고, 이직의도 간 관계를 부(-) 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참여적 의사결정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정(+)으로 부분 매개하였고, 이직의도 간 관계를 부(-)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자율성은 직무열의를 통해 이직의도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연구의 요약과 의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t has increasingly become important that social enterprises manage human resources in order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sustain financial competitiveness. To overcome limited resources, it is crucial for social enterprises to enhance employees’ commitment and efforts through work engagement(W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job resourc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PSS), perceived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PPDM), job autonomy) of WE in social enterprises and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OCB) and turnover intention(TI). Further, it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s of WE. The authors empirically tested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330 employees in (pre)social enterpri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ed. First, PSS, PPDM and job autonomy have respectively statistically positive impacts on WE. Second, with regard to the mediation effect of WE, Baron & Kenny’s three step approach was used. The results revealed that WE positively partially mediated between PSS and OCB and negatively did between PSS and TI. WE also positively partially mediated between PPDM and OCB and negatively fully mediated between PPDM and TI. In a case of job autonomy, WE mediated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TI. In conclusion, we summarized the empirical results and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얼리어답터 성향이 스마트폰 신 모델에 대한 기대감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교적 가치,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투자형태가 기업의 배당정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 기업의 비용구조가 지급정책에 미치는 영향
- 최고경영진(TMT)의 국제경영 경험이 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
- 노사관계와 고성과작업시스템 실행 정도
- 수시공시와 자율공시간 정보의 사전유출 비교
- 지나친 과업갈등표현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 CEO유형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불확실성과 시간압박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문제해결 정확도에 대한 효과
- 비상장기업의 하방경직적 원가행태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 및 공급사슬통합의 선행요인과 사회적 자본과 공급사슬통합, 지속가능 공급사슬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수시공시품질의 특성과 재무분석가 사이의 관련성
- 사회적기업 종업원의 직무자원, 직무열의 및 조직유효성 간 관계
- 중국소비자의 한국 제품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아우라에 미치는 영향
- 사내 기업가정신과 성과 간의 비선형 관계
- 경영자소유권과 자발적 공시행태
- 특수관계자거래와 가치평가오류에 관한 연구
- 경영자 능력과 기업수명주기 단계별 회계정보의 질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