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가에서의 신체자각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이용수  722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Body Awareness in Yoga on Emotion Regulation
발행기관
한국요가학회
저자명
장진아(Jang, Jin-A)
간행물 정보
『요가학연구』제17호, 67~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 사회에서 요가는 다양한 분야에서 심신을 치료하고 치유하는 도구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마음만을 다뤄왔던 심리치료 분야에서도 최근 몸과 마음의 통합이 중요함을 깨닫고, ‘신체자각’을 중요시하는 기법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요가의 주요 요소인 신체자각과 정서조절의 연관성에 관한 신경생리학적 기제를 밝혀낸 최근의 연구들을 3가지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심리치료 영역에서 요가의 적용 가능성과 신체자각의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첫째는 뇌의 구조와 기능적인 측면이고, 둘째는 하향식 접근법 (top-down processing) 과상향식 접근법 (bottom-up processing) , 셋째는 다마시오 (Damasio) 의 신체 표지 이론 (somatic marker theory) 에 의한 관점이다. 또한 신체자각을 중심으로 한요가의 치료적 적용에 관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최신 연구들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신체자각이 정서를 자각 하고 조절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 이러한 근거들을 바탕으로 심리치료 및 심신치료 분야에서 요가가 주요한 기법으로서 더 많이 사용되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ince ancient times, yoga has served as a holistic and integrated health system that encompasses human body, mind, and soul and as a means of self-growth and self-realization. As such, yoga is actively used as a means of mental and physical treatment and healing in various modern areas of education, medicine, psychotherapy etc. This shows the changes that occur with the existing western medicine and health paradigm, which have perceived human body and mind as two separate entities and treated them as mechanical systems. Especially, psychotherapy, which has so far focused on human mind, recently came to see the importance of the body-mind integration for self-healing and witnesses the continuous emergence of techniques that set great store by body awareness. In this light,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yoga and the importance of body awareness in psychotherapy by reviewing the latest studies in three aspects that have brought light on th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body awareness and emotion regulation. The first is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brain, the second is top-down processing and bottom-up processing, third is somatic marker theory of Damasio. Body awareness is the start of self-awareness, which is at once an important therapeutic mechanism of yoga and a crucial element that enhances self-regulation. Also, by reviewing the effects of yoga for emotion regulation and the therapeutic application of yoga with a focus on body awareness, the study hopes that yoga will be widely applied in the Korean mental and physical health.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신체자각
1. 요가에서의 신체자각
2. 신체자각 연구와 신경생리학적인 관점
Ⅲ. 요가에서의 신체자각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1. 신체자각과 정서조절의 신경생리학적 기제
2. 정서조절에 대한 요가의 효과 연구
Ⅳ. 신체자각을 중심으로 한 요가의 치료적 접근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진아(Jang, Jin-A). (2017).요가에서의 신체자각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요가학연구, (17), 67-95

MLA

장진아(Jang, Jin-A). "요가에서의 신체자각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요가학연구, .17(2017): 6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