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Motivations for Filial Piety in Korea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성규탁(Kyu taik S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구 연세사회복지연구)』2권, 147~1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05.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효에 관련된 각종 문헌들을 섭렵하여 빈번히 지적되고 강조되어 온 효에 관한 중요한 교의를 살펴 본 후, 여기서 얻은 결과를 기초로 하여 효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지적하는 변인들을 식별해 내었다. 성인자녀가 부모에게 효도를 하는 이유를 나타내는 일련의 변수들 가운데서 13개의 가장 빈번히 그리고 가장 광범위하게 알려진 변인들을 선정하였다. 즉, 이 13개 변인에는 부모에 대한 애정, 은혜 보답, 조화로운 가족관계의 유지, 부모 존경, 부모에 대한 의무 수행, 부모를 위한 희생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변인을 사용하여 설문을 구성하고, 성인자녀 1,250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변인을 중요시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하여 효의 세가지 차원을 식별하였다. 그 세가지 효의 차원은 행동지향적 효, 정서지향적 효 및 가족지향적 효의 차원이다. 이와 같이 효는 여러 변수들과 차원들로서 설명할 수 있으며, 이들 변인들을 성인자녀가 부모를 부양하려는 의지와 부모자녀관계의 도덕성을 측정하는 척도(尺度)로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또한 효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될 개념적 및 실천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Some of the important teachings on filial piety were reviewed, which had been most frequently cited and enforced. Based on this review, specific variables indicating various aspects of filial piety were identified. From a pool of the multiple variables describing why adult children piously care for their parents, a set of 13 variables most frequently used and widely recognized were selected. They include affection to parent, repayment of debt, harmonization of the family centering around parent, respect for parent, obligation to parent, and sacrifice for parent. Using these variables,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a survey of 1,250 adult children. A factor analysis using data on these variables was performed, from which three dimensions were extracted: behaviorally-oriented filial piety, emotionally-oriented filial piety, and family-oriented filial piety. Findings suggest that the motivation for filial piety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multiple variables and dimensions, and that the set of these measures might be used to assess the willingness of an adult child to provide pious parent care and the moral aspect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findings furthermore provide both conceptual and practical tools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filial piety.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효의 이념
III. 효의 측정
IV. 연구방법
V. 조사결과
VI. 효행자와 일반인의 차이
VII.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체계 분석:A마을활동가단체를 중심으로
- 시민사회기본법 30년 입법사 : 담론 변화, 반복된 실패, 그리고 전략적 재설계
- 중장년층의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