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東晋南朝 褅祫祭 원칙 변화의 禮學的 근거와 논리
이용수 46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s of Di-Xia(褅祫祭), or Royal Ancestral Shrine Rites and their Thought and Logic in the Wei-Jin-Nanchao(魏晉南朝) Period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김선민(Kim, Sun-Min)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6집, 213~258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통적으로 황제종묘의 제사는 1년 5회의 時祭와 5년 2회의 褅祫祭를 기본으로 하며, 제사의 규모와 중요성으 로부터 체협제를 ‘殷祭’(큰 제사) 혹은 ‘殷祠’ ’라고도 칭한다. 시제가 조상을 추모하는 마음에서 바치는 제사라면 체협제는 종법적·정치적인 성격이 강한 제사이다. 祫祭는 종묘의 훼묘 미훼묘 신주들을 전부 태조묘에 모아놓고 합식하게 하는 합제이고, 禘祭는 종묘 에서 昭穆尊卑의 의리를 살펴 次序를 분명히 하는 데 근본 목적이 있다.
체협제의 행례시기는, 古禮의 경우 3년상을 마치면 협제와 체제를 연년으로 지내고(‘喪畢後’) 이후로는 5년 2회 정기적으로 지내는(‘五年再殷’) 두 가지 원칙을 병행하였다. 위진남조에 와서는 曹魏가 고례를 따랐던 반면 東晋 후반기(4세기 후반) 50여년간은 30개월 주기의 ‘5년재은’ 단독원칙이 준용되었다. 그 차이의 핵심은 3년상을 만났을 때 복상을 마칠 때까지 체협제를 중지하느냐 안하느냐에 있었다. 劉宋 初 두 가지 원칙을 병행하는 새로운 체협제가 定制로서 확립되었는데 이것은 고례의 이념과 명분을 살리면서도 형식에서는 융통성을 발휘한 제도였다.
본래 동진의 ‘5년재은’ 단독원칙은 장례후 바로 상복을 벗는 3년상의 短 喪制에 입각한 제도였다. 유송 역시 단상제를 준용하였으나 체협제에 대해서는 관점을 달리 했다. 첫째, 3년상을 마치기 전에 체협제를 지내는 것은 인간 본연의 감정에도 부합하지 않고 조상 귀신도 편안히 흠향하지 않을 것이란 점. 둘째, 단상제는 장기간의 국정 공백을 우려하여 만든 權制로서 국가안 위를 위해 마땅히 따라야 할 국법이지 만, 종묘제사인 체협제는 국가안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고례에 따라 ‘3년상필’한 후에 지내더라도 국정에 아무런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公的 영역을 해치지 않는 이상 私情의 표현 방법은 자유롭게 선택할수 있다는 사고의 발로였다. 유송에서 출발한 새로운 체협제는 古禮의 이념과 권위에 의지하면서도 무비판적 답습에 그치지 않고 나름의 논리에 근거한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raditionally, the rites of royal ancestral shrines, called the seasonal ancestor-memorial rites (時祭), were held four times a year, while di-xia rites (褅祫祭) or big rites (殷祭, 殷祠), were held twice every five years. One of the di-xia rites, di rites (禘祭), was a group memorial service that was held for enshrined tablets (未毁廟) and removal tablets (毁廟) all together in the chamber of the founder or the first king (太祖廟) of its dynasty. The other rites, the xia rites (祫 祭), were held to clarify the ranking order (昭穆尊卑) of ancestors.
Following a king’s death, according to the rules of old rites (古禮), the di-xia rites would be held after a consecutive three-year mourning period, totaling twice in five years. The Wei (魏) dynasty observed the old rules, while East Jin (東晋) adopted only one “twice five years (五 年再殷)” rule; that is, the di-xia rites were not performed during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Then, the early Liuchao (劉宋) established new rules that modified the old rites slightly, during which di-xia rituals were held only one time after a three-year mourning period.
As the East Jin s di-xia rites were essentially based on a short-term mourning system (短喪制, 旣葬除服) that heralded the end of the period of mourning immediately after burial, di-xia rites in theory could be held in one or two months after the emperor s death. Even though the Liuchao dynasty adopted the same short-term mourning system as East Jin, they seemed to be sk eptical of the performances of the rites in moods of grief caused by the death of their parents.
They appealed to man s natural emotion. According to the Liuchao dynasty, as the short-term mourning system was introduced in fear of a long term vacuum of state management due to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the short-term institution must be observed for public affairs. But since the performance of the di-xia rites could not affect state management, it seemed that holding the di-xia rites after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did not matter. Insofar as performance of rituals had not harmed the public domain, they thought, it should be permitted to keep and express man s own natural feelings of grief.
목차
1. 머리말
2. 褅祫祭의 유래와 형식
3. 魏晉南朝 褅祫祭의 원칙
1) 魏·晉의 ‘五年再殷’ 단독 원칙
2) 劉宋의 ‘三年喪畢後’ 古禮 회복
4. ‘三年喪畢後’ 원칙의 禮學的 근거와 논리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근 10년 간의 중국의 지식생산과 지식사회
- 東晋南朝 褅祫祭 원칙 변화의 禮學的 근거와 논리
- ≷荀子≸「天論」편의 天人分離論 연구
- 공적 지식인과 연결을 위한 지(知) * - 생성의 과정을 공유한다는 것 -
- 일상의 아지트에서 공공성을 함께 만들다 - 문화인류학자 조한혜정 -
- 행복 추구를 가능하게 하는 지역사회의 창조 *- 미나마타(水俣)의 모야이나오시(もやい直し)와 현지학(地元学)에서 배우는 것 -
- 지식의 인간성, 학문의 사회성, 교육의 공공성 * - 지식과 학문과 교육의 통합체계로서의 사회인문학 -
- 초국가화와 대학 :글로벌 모더니티의 관점
- 지식생산위기, 그 이후? 역사사회과학과 사회인문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