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68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영(Kim HeeYoung) 홍지명(Hong Ji My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9호, 245~2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직헌신도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시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77명이며 연구도구는 교직헌신도,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4월 17일부터 4월 28일까지 직접 방문하여 유아교사들에게 연구 참여 동의를 받아 2017년 5월 8일에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의 방법에 따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간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직헌신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분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효능감은 교직헌신도와 결합하여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교사의 교직헌신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교사효능감이 중요한 변인이 됨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 직무만족,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7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the test instruments for commitment to teaching,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Baron and Kenny s mediator effect validation method, and Sobel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pat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itment to teaching,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y act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effect of teacher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teaching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at teacher efficac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Furthermore, it suggested that various supportive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increase teacher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방안
- 체육학 전공생의 성격강점과 스트레스 대처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 학습자의 진로탐색에 있어 경험중심 무용교육의 역할과 과제
- 국문과 대학생들의 ‘영어강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여성의 일-삶 균형과 주관적 경력성공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경험 : 성찰일지 기반의 실습교육 설계와 적용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 소방관의 재난대비인식, 재난대비역량 및 재난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유아식생활 연구 동향 비교 분석
- 대학생의 심리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Exploring Korean Students’ High Stakes TOEFL Preparation for Domestic University Admission
- 생애단계별 교사연수 모형 개발
- John Burningham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상 탐구
- 교사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교과의 다문화적 내용 요소 분석
-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창작국악을 도입한 유아국악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시 텍스트 이해를 위한 소설 상호텍스트 활용의 실제
-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과 정책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 누리과정 및 생활주제 간 연계 방안 탐색 연구
- 성찰활동 유형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창의적 리더십, 간호진로분야 선호도의 차이
-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직업카드 개발 모형 구안
-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에 따른 진로동기 및 전공만족도 변화 분석
- 중국 고등학교 경제교육에서 시장과 정부의 역할 변화 연구
-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정서조절능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 어린이집원장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소진과의 관계
- 수업 시간에 ‘쫓겨남’의 의미
- CEAS로 살펴본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환경정서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심미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좋은 수업의 참여적 개념화 : 경기 S 고등학교의 사례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와 현직중등교사의 인식 분석
- 초등사회수업에서 테크놀로지의 변화
-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 디자인 활동이 유아의 미술성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아동 대상 중독 연구의 동향과 제언
- 도서관 메이커 활동(Maker Activity)을 통한 메이커 정신
- 보육교사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인식-IPA 기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