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엎드린 자세에서 Ferguson view 검사의 유용성 평가
이용수 8
- 영문명
-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Ferguson view in the prone position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성하연(Ha Yeon Sung) 장성원(Seong Won Jang) 정재연(Jae Yeon Jung) 박창현(Chang Hyeon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5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Ferguson view 검사에서 환자의 자세와 X선 입사각도에 따른 영상과 유효선량을 각각 비교하여 엎드린 자세에서 Ferguson view 검사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인체모형팬텀을 사용하여 바로 누운 자세에서 머리 쪽으로 각각 20 o , 25 o , 30 o , 35 o , 40 o 엎드린 자세에서 다리 쪽으로 각각 20 o , 25 o , 30 o , 35 o , 40 o 각도로 입사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PCXM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효선량을 산출하였으며 PACS의 길이 측정용 Tool을 이용하여 5번째 요추와 천추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측정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대응 t검정으로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엎드린 자세에서 다리 쪽으로 30 o X선을 입사하였을 때 평균 8.39±0.13으로 5번째 요추와 천추사이 공간이 가장 넓었고, 엎드린 자세에서 다리 쪽으로 35 o 입사하였을 때 평균 1.76±0.11 로 가장 좁게 나타났다. 누운 자세에 따른 5번째 요추와 천추사이 공간은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P<0.05). DAP값과 유효선량은 누운 자세에 따라 입사방향을 머리 쪽과 다리 쪽으로 30 o 입사하였을 때 각각 88%, 42%로 가장 큰 차이가 있었으며 20 o 로 입사하였을 때 각각 97%, 65%로 가장 적은 차이를 보였다. 누운 자세에 따른 DAP값과 유효선량은 각각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 : 수술 자세와 동일한 엎드린 자세에서의 Ferguson view 검사는 영상의 질을 유지 하면서도 유효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임상 적용 시 진단적 가치와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Proved the usefulness of the Ferguson view in the prone position compare with the image quality and the effective dose about the patient position and the X-ray incident angle.
Materials and Methods : Exposure for the cranial 20 o , 25 o , 30 o , 35 o , 40 o X-ray towards the phantom in the supine position and the caudal 20 o , 25 o , 30 o , 35 o , 40 o in the prone position. Then we get the images of all parameters. Calculate the effective dose using the PCXMC program and the measure the l-s joint space length using the tool of PACS. We analyze the difference of measured data by the t-test.
Result : The prone-caudal 30 o s lumbo-sacral joint space length is the longest in supine and prone position(8.39±0.13). and prone-caudal 35 o s lumbo-sacral joint space length is the shortest in supine and prone position(1.76±0.11). The l-s joint space distance has the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atient position(p<0.05).The DAP value and effective dose has the statistical difference in patient position(p<0.05).
The biggest difference about the DAP and effective dose is the 30 o in both position and incident angle at the 88%, 42%. The smallest difference is the 20 o at 97%, 65%.
Conclusion : Ferguson view in the same position with the surgery is maintain the suitable image quality and reduce the effective dose. Also it is develop the diagnostic value in clinic and the satisfied of patient.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R system에서 적정선량 평가를 위한 Deviation Index 활용의 유용성 연구
- DR 환경에서의 흉부촬영 시 부가필터 사용에 대한 유용성 평가
- 유방 압박 두께가 두꺼운 환자 대한 적정조건과 화질에 대한 연구
- 인공슬관절치환술 환자의 merchant view 시행 시 적절한 입사각 평가
- 무릎 과간와(Intercondylar fossa) 검사시 변형된 Supine 자세에서 무릎 각도 변화에 따른 유용성 평가
- Image J를 이용한 방사선 앞치마(Apon)의 방어 성능평가
- 엎드린 자세에서 Ferguson view 검사의 유용성 평가
- 단순흉부촬영과 Duel-Energy, Digital Tomosynthesis의 물리적 특성 비교평가에 관한 연구
- Dual energy 흉부 검사 시 부가 필터 변화에 따른 유용성 평가
- 폐쇄성수면무호흡증후군에서 Videofluoroscopy의 임상적 유용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