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x Differences in Bone Marrow Density Measured by Quantitative Ultrasonometry: For 20 year old college student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이원정(Won-Jeong Lee)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401~405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초음파 측정 방식으로 획득한 골밀도를 남녀 간에 차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D대학에 재학 중인 104명(여자 69명, 남자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골다공증 위험요인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골밀도는 정량적 초음파 측정(QUS, quantitative ultrasonometry)으로 모든 참여자의 양측 종골 (calcaneus)을 각 1회씩 측정하였다. SPSS ver. 19.0 프로그램 사용하여 남녀 간에 골밀도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T-test)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전체 대상자 104명 중 여자 69(66.3%)명, 남자 35(33.7%)명으로 여자가 많았다. 왼쪽 종골의 T-값은 여자 0.443으로 남자 0.031 보다 높았다(p=0.161). 오른쪽 종골의 T-값 또한 여자가 남자 보다 높았다(0.555 vs. 0.049, p=0.161). 남녀 모두 왼쪽 종골 보다 오른쪽 종골의 T-값이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신체활동량이 많을수록 양쪽 종골 모두 T-값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통 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양측 종골의 골밀도는 남자 보다 여자가 높았고, 신체활동량이 많을수록 증가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bone marrow density measured by quantitative ultra-sonometry (QUS) between men and women. Questionnaire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from 104 participants, and then their both calcaneus was measured by using QUS. Sex differences for bone marrow density (BMD) were analyzed by an Independent t-test using the SPSS 19.0 program. Of 104 par-ticipants, women and men were 69(66.3%) and 35(33.7%), respectively. T-value of left calcaneus was high significantly in women than that in men(0.443 vs. 0.031, p=0.161) as well as that of right calcaneus(0.555
vs. 0.049, p=0.093). T-value of right calcaneus was high than that of left calcaneus in women and men (not significant, p>0.05). T-value of both calcaneus was increasing with physical activity. T-value of calca-neus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ge and body mass index. The BMD of women is high sig-nificantly more than that of men, and BMD is relation with physical activity.
목차
Ⅰ. 서 론
Ⅱ. 참여자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목차
- 전립선암 치료 시 방광의 용적 변화에 따른 선량의 비교 평가
- 다인병실에서 이용되는 방사선원의 종류에 따른 공간선량률 분석
- 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부록
- 인터벤션 시 방사선조사 조건에 따른 선량감소
- 소아 흉부검사 시 격자 사용에 따른 영상 화질 평가
- Radioprotective Effects of Aronia on Radiation Irradiated Rats
- 건강검진 차량 내 흉부 방사선검사 시 공간산란선 분포 연구
- 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편집위원회
- 의료 방사선 방호용 앞치마의 정성적 평가법 개발
- 임상실습이 자기학습 발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량적 초음파 측정에 의한 골밀도의 남녀 차이
- 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표지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광자계수검출기 기반 이중에너지 스펙트럼 유방촬영에서 가중 영상 감산법을 통한 물질분리
- 의료 영상을 이용한 인체 골 모형 제작의 3차원 프린팅 시스템 개발
- 임상초음파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액상 실리콘과 금속화합물을 융합한 저선량 방사선 차폐 소재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
- 다양한 디지털 방사선 시스템의 물리적 영상 특성 조사
- 방사선사 핵심 직무역량 모델의 적합성 및 타당성 검증
- 소아 5세 표준촬영 가이드라인과 임상 촬영조건의 입사표면선량과 주요 장기흡수선량 비교
-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관전압과 관전류, 통계적 반복재구성법에 따른 화질과 피폭선량
- 한국원자력연구시설을 이용한 방사선학과 대학생 인력양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