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Doses According to Change of Bladder Volume in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권경태(Kyung-Tae Kwon) 민정환(Jung-Whan Min)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415~42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립선암에서 방사선치료의 경우 직장의 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항문을 통하여 일정한 양의 공기를 주입한 풍선을 이용한다. 이런 이유로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는 매일 영상유도를 하기 위하여 CBCT를 획득하고 있다. 치료 전 처음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과 가장 비슷한 상태의 해부학적 구조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처치를 하고 있지만 완벽하게 일치된다고 할 수 없다. 두 명의 실제 치료계획에서는 방광의 용적은 45.82 cc와 63.43 cc 및 등가직경 4.4 cm, 4.9 cm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20회 CBCT 결과에서 방광의 용적은 평균 56.2 cc, 105.6cc로 평가 되었다. 치료계획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평가된 선량과 A 환자의 기준으로 정한 CBCT의 선량은 PTV Mean dose는 1.74%, Bladder Mean dose는 96.67%의 차이로 평가되었으며, B 환자의 경우 PTV Mean dose는 4.31%, Bladder Mean dose는 97.35%의 차이로 평가되었다. 방광의 용적의 변화에 따라 PTV와 방광의 선량변화가 발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광의 용적의 변화에 따른 방광 선량의 상관계수 값은 평균선량 R 2 = -0.94의 선형성을 나타냈다. 방광의 용적변화에 따른 PTV선량의 상관계수 값은 평균선량 R 2 = 0.04의 선형성을 나타냈다. 방광 용적의 변화에 따라 PTV의 선량 변화가 방광의 선량변화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e case of radiation therapy for prostate cancer, a balloon infused with a certain amount of air through the anus is used to reduce rectal dose. Because of the reason, radiation therapy for prostate cancer has acquired CBCT for daily image induc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anatomical structure most similar to the first CT taken before treat-ment, it is pretreated, but it can not be said to be perfectly consistent. In two actual treatment regimens, the volume of the bladder was measured as 45.82 cc and 63.43 cc, and the equivalent diameter was 4.4 cm and 4.9 c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an volume of the bladder was estimated to be 56.2 cc, 105.6 cc by 20 CBCT. The mean dose of CBCT was 1.74% and the mean Bladder mean dose was 96.67%. In case B, PTV mean dose was 4.31%, Bladder mean Dose was estimated to be 97.35%. The changes in the volume of the bladder resulted in changes in the dose of PTV and bladd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bladder do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bladder volume showed linearity of mean dose R 2 = -0.9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PTV dose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blad-der showed linearity of mean dose R 2 = 0.04. It was found that the dose change of PTV was larger than that of bladd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bladder volum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목차
- 전립선암 치료 시 방광의 용적 변화에 따른 선량의 비교 평가
- 다인병실에서 이용되는 방사선원의 종류에 따른 공간선량률 분석
- 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부록
- 인터벤션 시 방사선조사 조건에 따른 선량감소
- 소아 흉부검사 시 격자 사용에 따른 영상 화질 평가
- Radioprotective Effects of Aronia on Radiation Irradiated Rats
- 건강검진 차량 내 흉부 방사선검사 시 공간산란선 분포 연구
- 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편집위원회
- 의료 방사선 방호용 앞치마의 정성적 평가법 개발
- 임상실습이 자기학습 발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량적 초음파 측정에 의한 골밀도의 남녀 차이
- 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표지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광자계수검출기 기반 이중에너지 스펙트럼 유방촬영에서 가중 영상 감산법을 통한 물질분리
- 의료 영상을 이용한 인체 골 모형 제작의 3차원 프린팅 시스템 개발
- 임상초음파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액상 실리콘과 금속화합물을 융합한 저선량 방사선 차폐 소재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
- 다양한 디지털 방사선 시스템의 물리적 영상 특성 조사
- 방사선사 핵심 직무역량 모델의 적합성 및 타당성 검증
- 소아 5세 표준촬영 가이드라인과 임상 촬영조건의 입사표면선량과 주요 장기흡수선량 비교
-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관전압과 관전류, 통계적 반복재구성법에 따른 화질과 피폭선량
- 한국원자력연구시설을 이용한 방사선학과 대학생 인력양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