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탈피 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용수 150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s of Recipients with Disability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o Break Away From Receiving Service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박재홍(Park Jae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47권, 115~1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6차 장애인고용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장애인 수급자를 대상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탈피 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서 수급탈피 의향이 높으며, 고등학교졸업이상의 학력이 중졸이하의 학력에 비해 수급탈피의향이 높고, 고용서비스경험이 있을수록 수급탈피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령이 높을수록 수급탈피의향이 낮으며, 장애유형이 정신장애일 때는 신체외부장애에 비해서 수급탈피 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고용서비스경험이 수급탈피의향에 미치는 효과는 학력이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장애인의 수급탈피 의향을 고양하기 위한 근로연계복지정책 강화, 교육 접근성 제고, 고용 서비스 확충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nalyz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s of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with disability to break away from receiv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s using data of the 6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and explores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high level of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s intention of recipients to break away from receiv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nd a rise of age
negatively influence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job training and the number of certificates positively influence intention of recipients to break away from receiving servi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reinforcing welfare to work policies, enhancing access to education, and expending programs for job training in order to promote intention of recipients to break away from receiving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