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민의 기부행동에 대한 설명요인 탐색
이용수 192
- 영문명
- Multi-level Analysis on citizens giving behavior in seoul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유재연(Lyu Jae Yeon) 김창우(Kim Chang Woo) 김진미(Kim Jin Mi)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47권, 213~24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의 영향력을 동시에 검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종속변수인 기부행동은 기부참여와 기부규모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독립변수는 개인요인(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과 지역요인(사회단체활동 참여율, 투표현황, 사회적 신뢰, 인구밀도)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만 15세 이상 서울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서울복지재단의 서울시복지패널(2010)과 서울통계연보(2010) 자료를 바탕으로 다층분석(multi-level analysis)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기부참여와 기부규모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개인요인은 성별(-), 교육수준(+), 종교(+), 혼인상태(+), 행복감(+)이었으며, 추가적으로 기부규모에서만 유의한 영향요인은 연령(+)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요인의 경우 기부참여에는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없었으나 기부규모에서는 투표율(+)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지역요인이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이론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다는 점, 지역요인과 기부행동의 관계성을 살펴보더라도 기존 선행연구들의 분석단위가 개인에만 한정되어 왔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는 개인과 지역을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이론적 틀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기부규모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지역요인이 기부행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이 된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요인이 보다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모금기관에 이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factors and region factors on giving behavior by using multi-level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and measures citizens’giving behaviors(giving participation, giving amount) as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are measured by socio-demographic factor(gender, age, education, income, religion, marriage, employment) and psychological factor(euphoria) as individual level and civic involvement ratio, voter rate, social trust, and population as region level. This study used the Seoul Welfare Panel(2010) and Seoul statistics annual report(2010) data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using Multi-level analysis. Influence factors on giving participation and giving amount in common were gender(-), education(+), religion(+), marriage(+), euphoria(+). Additionally influence factors on only giving amount was age(+). Although there were several variables that showed consistent relationship in individual level, only voter rat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giving amount as regional level. There have been theoretical studies that gives idea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 and giving behavior but there was a few evidence study. Moreover the fact that this study deals with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at the same time makes its result meaningful.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nonprofit organizations who manage giving don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