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정우 도성재 남상헌 윤순욱 진영근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5권 3호, 273~28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공위성 레이더고도 측정값으로부터 유도된 중력이상으로턱터 남극 드레이크해협의 해저지형을 계산하기 위해 Gravity-Geologic Method(GGM)를 적용하였다. 총 6548개의 음항측심자료 중 2/3는 control depth로, 나머지는 결과 검증을 위한 check point 자료로 이용하였다. 효과적인 계산을 위해 해수와 해저지형의 밀도차이는 check point를 이용, 9.0 gm/㎤로 가정하였다. Control depth로부터 광역중력이상을 계산하였고, 이를 Sandwell & Smith(1997)의 중력이상으로부터 제거하여 해저지형의 기복에 의한 중력 효과를 계산하였으며, 이로부터 해저지형을 복원하였다. Selective Merging 기법을 개발하여 복원된 해저지형과 고주파 측심자료를 효과적으로 합성하였다. 복원된 해저지형은 한국해양연구원의 측심자료, GEODAS 및 전지구 모델 ETOPO5 결과와 각각 0.91, 0.92, 0.85의 상관계수를 갖으며, Selective Merging을 이용한 최종 결과는 GEODAS 및 Smith Sandwell(1997)의 결과와 각각 0.948 및 0.954의 상관관계 및 449.8, 441.3 m의 RMS 오차를 갖는다. GGM을 이용하여 계산된 해저지형은 측심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의 경우 전지구모델(ETOPO5)이나 자료의 양이 불충분한 음항측심에 의한 결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Gravity-Geologic Method (GGM) was implemented for bathymetric determinations in the Drake Passage, Antarctica, using global marine Free-air Gravity Anomalies (FAGA) data sets by Sandwell and Smith (1997) and local echo sounding measurements. Of the 6548 bathymetric sounding measurements, two thirds of these points were used as control depths, while the remaining values were used as checkpoints. A density contrast of 9.0 gm/㎤ was selected based on the checkpoints predictions with changes in the density contrast assumed between the seawater and ocean bottom topographic mass. Control depths from the echo soundings were used to determine regional gravity components that were removed from FAGA to estimate the gravity effects of the bathymetry. These gravity effects were converted to bathymetry by inversion. In particular, a selective merging technique was developed to effectively combine the echo sounding depths with the GGM bathymetiy to enhance high frequency components along the shipborne sounding tracklines. For the rugged bathymetry of the research area, the GGM bathymetry shows correlation coefficients (CC) of 0.91, 0.92, and 0.85 with local shipborne sounding by KORDI, GEODAS, and a global ETOPO5 model, respectively. The enhanced GGM by selective merging shows imploved CCs of 0.948 and 0.954 with GEODAS and Smith & Sandwell (1997)′s predictions with RMS differences of 449.8 and 441.3 meters. The global marine FAGA data sets and other bathymetric models ensure that the GGM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shipborne bathymetry from echo sounding to extend the coverage into the unmapped regions, which should generate better results than simply gridding the sparse data or relying upon lower resolution global data sets such as ETOPO5.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양증기추출(Soil Vapor Extraction)을 이용한 토양 내 Trichloroethylene(TCE)과 Toluene 정화 실험
- Juan de Fuca 해령 Cleft Segment에서 회수된 황화물 침니: 광물조성 및 유체포유물
- 중국 연변 쇼시난차 반암동 광상의 광화작용 및 변질작용: 유체포유물 및 황동위원소 연구
- 2차산불피해저감기술개발을 위한 강원도 산불지토양 중 Fe-Mn원소의 분포특성
- 구봉 금-은광상에서 산출되는 에렉트럼의 산출상태와 화학조성
- 호남탄전지역 폐탄광의 산성광산배수와 하상퇴적물의 환경지구화학적 특성
- 우수관퇴적물에 함유된 탄산염광물이 산성환경에서의 중금속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직류전원과 0가 철을 이용한 지하수내 TCE 정화효율의 최적화 연구
- 중국 호남성 시죽원 광상의 W-Sn-Bi-Mo 광화작용
- Gravity-Geologic Method를 이용한 남극 드레이크 해협의 해저지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