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유봉철 최선규 이현구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5권 3호, 191~20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구봉 금-은광상은 선캠브리아기 경기육괴의 호상 또는 화강편마암내에 발달된 단열대(NE, NW)를 따라 충진한 함 금-은괴상석영맥광상이다. 이 광상의 광화작용은 여러번의 단열작용에 의해 형성된 동일시기의 석영맥으로 구성되어있다. 산출되는 광석광물은 주로 유비철석, 황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과 소량의 자류철석, 백철석, 에렉트럼 등이다. 에렉트럼의 공생광물에 따른 산출빈도와 산출량은 각각 유비철석(44.5%, 54.3%), 석영(24.3%, 33.8%), 황철석(12.6%, 0.1%), 방연석(11.0%, 4.8%), 섬아연석(5.0%, 7.0%), 황동석(2.5%, 0.02%)의 순이다. 에렉트럼의 산출형태는 불규칙형(41.6%), 반원형(34.7%), 신장형(17.0%) 및 입상형(6.6%)이다. 에렉트럼의 입자 크기는 2 um에서 150 um 까지 다앙하게 산출되나 30 um 이하가 전체의 90.9%를 차지한다. 에렉트럼의 화학조성은 26.39∼72.51 Au atomic% 이다. 공생광물에 따른 에렉트럼의 화학조성(Au atomic %)은 유비천석-황철석-섬아연석-석영(44.97∼71.75), 석영(44.37∼72.51), 섬아연석 -황동석 (35.40∼41.01), 황철석-황동석-석영-방연석 (26.39∼54.84), 방연석 (28.49∼53.28) 이다. 그러므로 이들 결과를 부유선광시 고려한다면 금의 회수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Gubong gold-silver deposits if gold-silver-bearing hydrothermal massive quartz veins which were filled the fractures along fault shear (NE, NW) zones within Precambrian banded or granitic gneiss of Gyeonggi massif. Ore mineralization of this deposits is contained within a single stage of quartz vein which was formed by multiple episodes of fracturing and healing. Ore minerals are comported mainly of arsenopyrite, pyrite, sphalerite, chalcopyrite, galena with minor amounts of pyrrhotite, marcasite and electrum. The frequency and volume percentages of electrum associated with ore minerals from this deposits are recognized as follows; 44.5% and 54.3% with arsenopyrite, 24.3% and 33.8% with quartz, 12.6% and 0.1% with pyrite, 11.0% and 4.8% with galena, 5.0% and 7.0% with sphalerite and 2.5% and 0.02% with chalcopyrite, respectively. They show irregular (41.6%), subround (34.7%), elongate (17.0%) and granular (6.6%) shapes, respectively. Their grain size ranges from 2 to 150 um, but 90.9 percent of the grains are below 30 um.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lectrums ranges from 26.39 to 72.51 Au atomic %. These composition (Au atomic %) on the basis of associated minerals are from 44.97 to 71.75 with arsenopyrite, pyrite, sphalerite and quartz, from 44.37 to 72.51 with quartz, from 35.40 to 41.01 with sphalerite and chalcopyrite, from 26.39 to 54.84 with pyrite, chalcopyrite, quartz and galena, from 28.49 to 53.28 with galena, respectively. We suggest that optimum recovery of gold would be obtained with reference to these resul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양증기추출(Soil Vapor Extraction)을 이용한 토양 내 Trichloroethylene(TCE)과 Toluene 정화 실험
- Juan de Fuca 해령 Cleft Segment에서 회수된 황화물 침니: 광물조성 및 유체포유물
- 중국 연변 쇼시난차 반암동 광상의 광화작용 및 변질작용: 유체포유물 및 황동위원소 연구
- 2차산불피해저감기술개발을 위한 강원도 산불지토양 중 Fe-Mn원소의 분포특성
- 구봉 금-은광상에서 산출되는 에렉트럼의 산출상태와 화학조성
- 호남탄전지역 폐탄광의 산성광산배수와 하상퇴적물의 환경지구화학적 특성
- 우수관퇴적물에 함유된 탄산염광물이 산성환경에서의 중금속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직류전원과 0가 철을 이용한 지하수내 TCE 정화효율의 최적화 연구
- 중국 호남성 시죽원 광상의 W-Sn-Bi-Mo 광화작용
- Gravity-Geologic Method를 이용한 남극 드레이크 해협의 해저지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