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호남성 시죽원 광상의 W-Sn-Bi-Mo 광화작용

이용수  7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윤경무, 김상중, 이현구. 이찬희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35권 3호, 179~18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호남성 침주시에서 북동 16 km지점에 위치하는 시죽원 다금속 광상의 지질은 원생대의 변성퇴적암류, 데본기탄산염암, 쥬라기 화강암류, 백악기 반암류 및 초염기성맥암으로 구성된다. 시죽일 다금속 광상은 중-조립질 흑운모화강암과 관련되어 있다. 광체의 산출상태, 광물의 산출상태 및 공생관계를 토대로 광화시기는 스카른, 그라이젠 및 열수시기로 나뉜다. 스카른 시기의 광체는 주로 Ca-스카른으로 천리산 화강암체 주변에 발달되며, 석류석, 휘석, 베수비아나이트, 규회석, 각섬석, 형석, 녹염석, 방해석, 회중석, 철망간중석, 휘창연석, 휘수연석, 석석, 자연창연, 미확인 Bi-Te-S계 광물, 자철석 및 적철석 등이 산출된다. 그라이젠 시기는 중-조립질 흑운모화강암의 잔류용액과 관련되며, 광체는 판상 및 맥상으로 구분된다. 이 시기는 주로 석영, 장석, 백운모, 녹니석, 전기석, 황옥, 녹주석, 인회석, 회중석, 철망간중석, 휘수연석, 휘창연석, 석석, 자연창연, 미확인 우라늄광물, 미확인 희토류광물로 구성되고, 소량의 황철석, 자철석, 황동석, 적철석 등이 산출된다. 회중석은 누대조직을 보이며, 중심부에서 MoO₃ 함량이 9.17%로 외곽보다 높게 나타난다. 철망간중석의 화학조성은 WO₃; 71.20∼77.37 wt.%, FeO; 9.37∼18.4 wt.%, MnO; 8.17∼15.31 wt.% 및 CaO; 0.01∼4.82 wt.% 이다. 석석의 FeO 함량은 1.30∼4.75 wt.%이고, 스카른 시기가 높은 함량을 보인다. 자연창연의 Te 및 Se 함량은 각각 0.00∼1.06 wt.%와 0.00∼0.57 wt.%이다. 미확인 Bi-Te-S 계 광물은 Bl: 78.62∼80.75 wt.%, Te: 12.26∼14.76 wt.%, Cu; 0.00∼0.42 wt.%, S; 5.68∼6.84 wt.%, Se; 0.44∼0.78 wt.%.이다.

영문 초록

The Geology of the Shizhuyuan W-Sn-Bi-Mo deposits, situated 16 km southeast of Chengzhou City, Hunan Province, China, consist of Proterozoic metasedimentary rocks, Devonian carbonate rocks, Jurassic granitic rocks, Cretaceous granite porphyry and ultramafic dykes. The Shizhuyuan polymetallic deposits were associated with medium-to coarse-grained biotite granite of stage I. According to occurrences of ore body, ore minerals and assemblages, they might be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such as skarn, greisen and hydrothermal stages. The skarn is mainly calcic skarn, which develops around the Quanlishan granite, and consists of garnet, pyroxene, vesuvianite, wollastonite, amphibolite, fluorite, epidote, calcite, scheelite, wolframite, bismuthinite, molybdenite, cassiterite, native bismuth, unidetified Bi-Te-S system mineral, magnetite, and hematite. The greisen was related to residual fluid of medium- to coarse-grained biotite granite, and is classified into planar and vein types. It is comported of quartz, feldspar, muscovite, chlorite, tourmaline, topaz, apatite, beryl, scheelite, wolframite, bismuthinite, molybdenite, cassiterite, native bismuth, unknown uranium mineral, unknown REE mineral, pyrite, magnetite, and chalcopyrite with minor hematite. The hydrothermal stage was related to Cretaceous porphyry, and consist of quartz, pyrite and chalcopyrite. Scheelite shows a zonal texture, and higher MoO₃content as 9.17% in central part. Wolframite is WO₃; 71.20 to 77.37 wt.%, FeO; 9.37 to 18.40 wt.%, MnO; 8.17 to 15.31 wt.% and CaO; 0.01 to 4.82 wt.%. FeO contents of cassiterite are 0.49 to 4.75 wt.%, and show higher contents (4.17 to 4.75 wt.%) in skarn stage (Stage I). Te and Se contents of native bismuth range from 0.00 to 1.06 wt.% and from 0.00 to 0.57 wt.%, respectively. Unidentified Bi-Te-S system mineral is Bi; 78.62 to 80.75 wt.%, Te; 12.26 to 14.76 wt.%. Cu; 0.00 to 0.42 wt.%, S; 5.68 to 6.84 wt.%, Se; 0.44 to 0.78 w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경무, 김상중, 이현구. 이찬희. (2002).중국 호남성 시죽원 광상의 W-Sn-Bi-Mo 광화작용. 자원환경지질, 35 (3), 179-189

MLA

윤경무, 김상중, 이현구. 이찬희. "중국 호남성 시죽원 광상의 W-Sn-Bi-Mo 광화작용." 자원환경지질, 35.3(2002): 179-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