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bout Short-stacking Effect of Illite-smectite Mixed Layers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강일모(Il-Mo Kang)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5권 2호, 71~7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I-S)은 속성작용과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자생광물로 온도와 칼륨이온 농
도가 증가할수록 일라이트가 증가하는 I-S 상으로 전이하기 때문에 에너지 및 광물자원탐사분야에서 지온계와 연대측
정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I-S 층상구조를 이루고 있는 규산염층의 개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보통 5 ~
15개) 팽창도라 부르는 스멕타이트 함량(%S)이 이론치보다 낮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이를 단범위적층효과라 함). 본
연구에서는 기본입자(I-S 결정자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였을 때 관찰되는 최소 단위체)가 면대면(face-to-face)으로 쌓여
I-S 층상구조를 이룬다는 기본입자모델을 적용하여 적층정도에 따른 팽창도 차이로부터 단범위적층효과를 정량화하고
자 하였다(Δ%S = %SMax − %SXRD; %SMax = 기본입자가 무한적층을 하였을 때 팽창도, %SXRD = 기본입자가 제
한적층을 하였을 때 팽창도로 통상 X-선 회절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함). 본 연구를 위하여 금성산화산암복합체(경북 의
성)에서 산출되는 11개 I-S 시료로부터 1 μm 이하 입도를 분리하여 %SXRD와 평균부합성산란두께(average coherent
scattering thickness)를 측정하였으며 이 두 값을 활용하여 평균기본입자두께(Nf)와 %SMax를 유도하였다. 연구결과,
팽창도가 20 %SXRD 지점에서 단범위적층효과가 최대로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대략적으로 평균 3
개의 규산염층으로 구성된 기본입자(Nf ≈ 3)가 쌓여 I-S 층상구조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였다. Kang et al.
(2002)의 %SXRD와 Nf 다어그램을 이용하여 각 질서도(Reichweite)에 대한 %SXRD 범위를 유추해본 결과, 단범위적층
효과로 인하여 %SXRD값의 범위가 적층확률(junction probability)을 통하여 유도한 이론치보다 더 낮은 쪽으로 이동하
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I-S 층상구조를 구성하는 기본입자의 두께가 I-S 질서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임
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llite-smectite mixed layers (I-S) occurring authigenically in diagenetic and hydrothermal environments reacts
toward more illite-rich phases as temperature and potassium ion concentration increase. For that reason, I-S is often
used as geothermometry and/or geochronometry at the field of hydrocarbons or ore minerals exploration. Generally,
I-S shows X-ray powder diffraction (XRD) patterns of ultra-thin lamellar structures, which consist of restricted
numbers of sillicate layers (normally, 5 ~ 15 layers) stacked in parallel to a-b planes. This ultra-thinness is known
to decrease I-S expandability (%S) rather than theoretically expected one (short-stacking effect). We attempt here to
quantify the short stacking effect of I-S using the difference of two types of expandability: one type is a maximum
expandability (%SMax) of infinite stacks of fundamental particles (physically inseparable smallest units), and the
other type is an expandability of finite particle stacks normally measured using X-ray powder diffraction (XRD)
(%SXRD). Eleven I-S samples from the Geumseongsan volcanic complex, Uiseong, Gyeongbuk, have been analyzed
for measuring %SXRD and average coherent scattering thickness (CST) after size separation under 1 μm. Average
fundamental particle thickness (Nf) and %SMax have been determined from %SXRD and CST using inter-parameter
relationships of I-S layer structures. The discrepancy between %SMax and %SXRD (Δ%S) suggests that the maximum short-stacking effect happens approximately at 20 %SXRD, of which point represents I-S layer structures consisting of ca. average 3-layered fundamental particles (Nf ≈ 3). As a result of inferring the %SXRD range of each
Reichweite using the %SXRD vs. Nf diagram of Kang et al. (2002), we can confirms that the fundamental particle
thickness is a determinant factor for I-S Reichweite, and also that the short-stacking effect shifts the %SXRD range
of each Reichweite toward smaller %SXRD values than those that can be theoretically prospected using junction
probability.
목차
1. 서 론
2. 연구시료 및 방법
3. 연구결과
4. 토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선진국 환경시료은행의 특성 분석을 통한 국가환경시료은행의 발전방안
- 집속 회전형 X-선원과 이차원 검출기를 이용한 광물의 실시간 상전이 연구
-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Fe-oxidation State by 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 (EELS)
- 일라이트 폴리타입: 그 특성과 단층 활동연대 결정에의 활용
- Review: NanoFermentation을 이용한 자철석 합성연구
- 해성단구지에서 발달된 강릉통의 이쇄경반층(Btx) 토양의 산화·환원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의 단범위적층효과에 대한 고찰
- MMPH-0 (Enterobacter aerogenes)에 의한 6가 크롬 오염 지하수의 생지화학적 정화
- 광물표면의 화학적 특성과 금속이온 수착의 고찰:
- 서태평양 지판소멸대의 해저열수분출구에서 관찰되는 황동위원소 조성변화:
- Aluminum Solubility of Andisols in Jeju Island, Korea
-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습식자력선별법 사용 시 최적 토양분산 조건
- 광주 치평동 유적 출토 철기시대 토기의 제작특성과 매장환경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방사광 X-선 기법을 활용한 폐 금광산 토양의 광물학적 특성 및 비소 존재 형태 규명
- 원자에서 지구까지: 지구·환경과학에서의 방사광가속기 기법과 연구 사례 리뷰
-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of Neoproterozoic Sandstones of the Northeastern Parts of the Voltaian Basin of Ghana: Implications for Industrial Usag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