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verview of the Leading Environmental Specimen Banks in the World and Future Challenges of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종천(Jong-chun Lee) 김명진(Myungjin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5권 2호, 169~18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시료은행은 환경질(environmental quality)의 시공간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역할 뿐 아니라 시료 자체를 장
기 보존함으로써 후세에 과거의 환경을 직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서 다양한 생태계의 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선정된 시료를 엄격하게 규정된 채취방법에 따라 채취하여 성분변화가 일
어나지 않는 초저온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함으로써 미래 시점에서 회고적 분석(retrospective analysis)을 수행할 수 있
는 시설이 요구된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30여 년 전부터 환경정책의 실효성을 입증하거나 시대별 환경배경농도의 변
화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시료를 저장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2009년 자동화된 초저온 저장시설을 갖
춘 국가환경시료은행이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진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를 계기로 선진국의 시료은행 운영 경험을 발
전시켜 단시간 내에 정상궤도에 안착시키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아울러 그간 선진국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이
를 토대로 작성된 표준운영절차(SOP)에 따라 시험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함으로 환경을 대표하는 시료의 저장 및 분석이라는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한 수행체계를 갖추어 나가고 있다. 그
러나 이와 동시에 환경시료은행의 기능을 적극 응용하여 독자적 부가기능을 부여하는 청사진이 제시되고 이에 대한
실행방안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를 계기로 국가환경시료은행이 명실공히 국제적인 환경기구로 인정받는 도약의 발
판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ESBs (Environmental Specimen Banks) have monitoring functions for the contemporary environmental qualities
and also offer the future generation tangible information on the past environment by preserving the specimens.
This entails the sampling of the representative specimen for each distinctive ecosystem, which is performed under a
strict and stipulated procedure and a condition that does not allow any change in the component so that a retrospective analysis can be readily done even in the distant future. It has been more than 30 years that some developing countries started collecting a broad spectrum of specimens to vindicate the effectiveness of an environmental policy and to monitor the long-term variations of background concentration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Though being late,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Korea, has successfully launched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NESB) in 2009 equipped with its state-of-the-art automated cryogenic tanks. Since then, the researchers at the NESB have been doing their best to excel the existing ESBs around the world by learning and improving the expertise. To do so, they conducted a pilot study for developing and testing their ow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OP)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amples of the other ESBs. The problems from the pilot study had been reviewed to improve the SOP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an ESB, that is to say, preserving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specimens in cryogenic condition and enhancing the analytical method. Furthermore, they also need to prepare themselves to address the future challenges by providing some additional functions, which makes it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 ESBs. If successful, this will be a step further to be recognized as a fullfledged member of the ESB society of the world.
목차
1. 서 론
2. 환경시료은행의 역사
3. 환경시료은행의 조건
4. 우리나라 국가환경시료은행의 미래발전방안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선진국 환경시료은행의 특성 분석을 통한 국가환경시료은행의 발전방안
- 집속 회전형 X-선원과 이차원 검출기를 이용한 광물의 실시간 상전이 연구
-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Fe-oxidation State by 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 (EELS)
- 일라이트 폴리타입: 그 특성과 단층 활동연대 결정에의 활용
- Review: NanoFermentation을 이용한 자철석 합성연구
- 해성단구지에서 발달된 강릉통의 이쇄경반층(Btx) 토양의 산화·환원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의 단범위적층효과에 대한 고찰
- MMPH-0 (Enterobacter aerogenes)에 의한 6가 크롬 오염 지하수의 생지화학적 정화
- 광물표면의 화학적 특성과 금속이온 수착의 고찰:
- 서태평양 지판소멸대의 해저열수분출구에서 관찰되는 황동위원소 조성변화:
- Aluminum Solubility of Andisols in Jeju Island, Korea
-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습식자력선별법 사용 시 최적 토양분산 조건
- 광주 치평동 유적 출토 철기시대 토기의 제작특성과 매장환경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방사광 X-선 기법을 활용한 폐 금광산 토양의 광물학적 특성 및 비소 존재 형태 규명
- 원자에서 지구까지: 지구·환경과학에서의 방사광가속기 기법과 연구 사례 리뷰
-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of Neoproterozoic Sandstones of the Northeastern Parts of the Voltaian Basin of Ghana: Implications for Industrial Usag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