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습식자력선별법 사용 시 최적 토양분산 조건

이용수  8

영문명
Optimum Condition of Soil Dispersion for Remediating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using Wet Magnetic Separation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전철민(Chul-Min Chon) 박정식(Jeong Sik Park) 박숙현(SookHyun Park) 김재곤(Jae Gon Kim) 남인현(In-Hyun Nam)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45권 2호, 121~13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력선별 토양정화기술 공정에 적합한 토양의 최적 분산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토성이 다른 중금 속 오염토양 2종의 시료(US, JIK)를 대상으로 분산특성 및 중금속 용출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산제로는 인산염 (pyrophosphate, hexametaphosphate, orthophosphate), 계면활성제(sodium dodecyl sulfate, SDS)가 사용되었으며, pH = 9~12와 농도변화(1~200 mM)에 따른 토양입단의 분산특성 및 중금속 함량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분산조건을 도출하였다. 분산용액의 pH변화에 따른 토양분산 특성은 입도변화 결과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데, 분산용액의 pH 가 12에 가까워질수록 현탁액의 점토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pH가 상승함에 따라 PZC(point of zero charge)이상의 pH가 유지되면서 점토입자들이 분산된 상태로 유지된 것으로 여겨진다. 농도변화에 따른 토양분산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높은 점토함량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산화철, 산화망간의 PZC보다 높은 분산용액의 pH조건과 분산 제의 흡착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입자의 분산에 따른 중금속 용출은 pyrophosphate, hexametaphosphate, orthophosphate는 50 mM 이상의 농도에서, SDS의 경우 100 mM이상의 농도에서 비소 용출량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또한, 분산용액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비소 용출량도 증가하였다. 인산염은 비소와 유사한 화학구조를 지니고 있어 토양입자표면에서 흡착경쟁을 하여 비소의 탈착을 유발하고, 계면활성제는 토양입자표면에 흡착하여 비소가 탈착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분산용액에 따른 분산효과는 pyrophosphate > hexametaphosphate > SDS > orthophosphate의 순 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분산효율 및 비소용출량을 고려한 최적의 토양분산용액 조건은 pH 11, 10 mM pyrophosphate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구배 자력선별 기술을 이용한 토양정화 공정을 최적화하는데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Soil dispersion and heavy metal leaching with two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were studied to derive the optimal dispersion condition in the course of developing the remedial technology using magnetic separation. The dispersion solutions of pyrophosphate, hexametaphosphate, orthophosphate and sodium dodecylsulfate (SDS) at 1 - 200 mM and the pH of solutions was adjusted to be 9 - 12 with NaOH. The clay content of suspension as an indicator of dispersion rate and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were tested at the different pHs and concentrations of the dispersion solution during the experiment. The dispers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H and dispersion agent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The dispersion efficiency of the agents showed as follows: pyrophosphate > hexametaphosphate > SDS > orthophosphate. Arsenic leaching was sharply increased at 50 mM of phosphates and 100 mM of SDS. The adsorption of OH-, phosphates and dodecysulfate on the surface of Fe- and Mn-oxides and soil organic matter and the broken edge of clay mineral might decrease the surface charge and might increase the repulsion force among soil particles. The competition between arsenic and OH-, phosphates and dodecylsulfate for the adsorption site of soil particles might induce the arsenic leaching. The dispersion and heavy metal leaching data indicate that pH 11 and 10 mM pyrophosphate is the optimum dispersion solution for maximizing dispersion and minimizing heavy metal leaching.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토의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철민(Chul-Min Chon),박정식(Jeong Sik Park),박숙현(SookHyun Park),김재곤(Jae Gon Kim),남인현(In-Hyun Nam). (2012).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습식자력선별법 사용 시 최적 토양분산 조건. 자원환경지질, 45 (2), 121-135

MLA

전철민(Chul-Min Chon),박정식(Jeong Sik Park),박숙현(SookHyun Park),김재곤(Jae Gon Kim),남인현(In-Hyun Nam).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습식자력선별법 사용 시 최적 토양분산 조건." 자원환경지질, 45.2(2012): 121-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