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공립 병설유치원 교사의 수업 외 행정업무 지원 우선순위 분석
이용수 277
- 영문명
- Priority analysis on educational administrative supporting Jeju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정(Park, Eun-Jeong) 이인희(Lee, In-Hoi) 김승희(Kim, Seu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6호, 423~4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공립 병설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 외 행정업무에 대한 부담성과 적합성의 정도를 알아보고 IPA분석을 통해 행정지원 방안의 우선순위를 모색하는 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95개 공립 병설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원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 2015년 3월 30일부터 4월 10일까지 104부를 회수하였다. 이중에서 모든 항목에 응답한 97부를 최종 분석대상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공립 병설유치원 교사들은 수업 외 행정업무 전 항목에 대하여 적합성을 낮게 느끼고 부담성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 외 행정업무의 적합성이 낮을수록 수업 외 행정업무의 부담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외 행정업무 영역 중에서도 ‘방과후과정’, ‘유아학비 지원’, ‘유치원 시설관리’ 업무 순으로 우선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burden and adaptedness of Jeju Public Kindergarten (JPK) teachers educational administration besides their instructions and find priority to support their administrative works by us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 To do so, a survey was employed, and the population were all 146 teachers who worked in 95 JPKs. The major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degree of adaptedness of administrative works was low and the degree of burden was high. Specially, the teachers felt more burden as they perceived that the degree of adaptedness on administrative works besides their instructions was low. Second, teachers administrative works should be supported in the area of after-school program, children tuition support,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in ord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 공립 병설유치원 교사의 수업 외 행정업무 지원 우선순위 분석
-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기혼여성의 관계 형성의 어려움과 대처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예비체육교사의 수업시연 경험을 통한 수업 전문성 신장 요인 탐색
- 간호대학생의 성인 중환자실 임상실습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 중학생을 위한 언어자료기반(DDL) 자기주도 문법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 개정된 중등영어 임용시험의 출제 경향성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친밀 관계가 유아의 또래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놀이계획-실행-평가 과정의 의미 및 일치정도와 행동적 자기조절력
- 청소년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 타당화
- 여대생이 지각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통찰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학 교과에 공감을 도입한 수업 사례 연구
- 중등 예비교사의 인성교육 방향과 과제
- 대학의 ‘학생설계전공’으로서 교육컨설팅 전공 개발 사례연구
- How Stories Get Launched in Korean EFL Learners’ Conversations
- MOOC에서 소셜 러닝 촉진을 위한 튜터링 가이드라인 개발
- 신입사원의 감사성향과 직무만족의 관계
- 플립러닝과 디자인씽킹에 기반을 둔 창의적사고 강화와 코딩교육을 위한 강좌 개발
- 수용-전념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불안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 조절학습 지원 전략의 효과
-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창의적 역량의 예측요인으로서 학습개념과 학습접근 분석
- 공간에 따른 유아의 위험성감수놀이 경험: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공간과 자연적인 공간을 중심으로
- 계획된 우연이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진로전환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진로불확실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의 반성적 고찰
- 구성주의적 접근 유아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생용 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직윤리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