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소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발 예비 연구
이용수 47
- 영문명
- 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ment of Standard Background Noise Model for the KMA Infrasound Station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석태(Lee, Seok-tae) 박남률(Park, Nam Ryou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7권4호, 49~5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중음파는 대기를 통해 전달되어 온도, 습도, 바람 등에 의해 도달신호의 특성이 변하게 된다. 특히, 관측소에 상시 작용하고
있는 배경잡음으로 인해 양질의 공중음파 신호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배경잡음의 원인은 인간 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 및 바람에 의한 영향을 큰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실제 확인하고자 하는 공중음파 신호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배경잡음의 주요 주파수 대역 등을 확인하고 정량화하는 배경잡음모델 개발은 원하는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높이기 위한 필터 등의 설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상청 양구와 철원의 2015년도 공중음파 기록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를 구해 상위 95%와 하위 5%의 영역내의 주파수 별 최대 밀도를 구한 배경잡음 모델을 구하였다. 파워 스펙트럼 밀도 분석 결과 철원
관측소에 비해 양구 공중음파 관측소가 상대적으로 높은 잡음수준을 가지고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는 국제 공중음파
표준 잡음 모델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도의 기상데이터 분석을 통해 양구의 높은 관측소 고도로 인한 바람의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양질의 공중음파 기록을 확보하기 위한 배경잡음모델 결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infrasou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air, so the characteristics are changed by temperatures, humidity, and wind of the air.
It is difficult to obtain high quality infrasound signals due to the background noise. The main sources of the background noise are human activities and wind. The development of a background noise model that quantifies the frequency band is important in the design of filters to improve the signal-to-noise ratio.
In order to secure the quality of the infrasound signals. In this paper, we obtain the power spectral densities for the year of the 2015 infrasound recordings of Yanggu and Cheolwon station, and develop the model that obtained by maximum density per frequency in the upper 95% and lower 5% regions. Power spectral density analysis showed that the Yanggu station had relatively higher noise levels than the Cheolwon station and exceed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background noise model in certain frequency bands.
The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data for the year of 2015 shows that the wind interfered the signal due to the high altitude of the stat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ckground noise model to obtain high quality infrasound data.
목차
1. 서 론
2.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망
3. 결과 및 분석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전이물질의 혼입이 삼성분계 모르타르의 수화열 및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
- VE기법을 이용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비용/편익 분석
- 소유역 첨두홍수량 산정의 실무적 조정 방안
- 기상청 AR5 1-km 해상도 RCP 자료를 이용한 미래 가능최대강수량 분석
- 구형단면 내부구속 중공 철근콘크리트 부재 내의 콘크리트 재료 비선형 모델 개발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7권4호 표지
- 효율적인 복합재난관리를 위한 위기관리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침투시설 치수효과 분석 시스템 개발
- 유입부하 변동에 따른 Bio-Sac 생물반응조의 최적 송풍량 결정에 관한 연구
-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한 태풍 영향기간 동안의 강우패턴 분석
- 토석류 위험지구의 관리구역 설정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7권 4호 목차
-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치를 위한 유형결정 방안에 대한 연구
- 복합적 토지피복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연구
-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가능최대강수량 산정을 위한 최소관측기간의 결정
- 가상현실 기반의 방사능방재 훈련시스템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 해양 HNS 유출사고 초동대응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 개발 연구
- IETD결정방법을 통한 도심지역의 무강우시간 추정
- 한계평형해석에서 송전탑 하중에 의한 영향요소에 대한 연구
- 지리정보 혼합시스템 기반의 초저음파 관측소 설계
- 제연구역 풍량제어를 위한 이중모드댐퍼 개발 연구
- 이중관형 지중열교환기의 유입유량에 따른 관내 유체흐름특성에 관한 연구
- 수용성 방염액 처리 목재의 방염 성능 및 가스유해성 분석
- 기존 지하철역사 피난성능 향상을 위한 피난대피소 구축방안 연구
- CFD코드를 이용한 HPSI Pump Room의 화재안전성 평가
- 문화재 재난안전도 평가지표 개발 연구
- 성인지적 관점을 고려한 재난안전관리 정책 수립의 필요성
- 경남 창원시 진해 지역의 발파진동 예측에 관한 연구
- 대설 재난에 따른 농⋅축산 시설 피해액 영향요인 분석
-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소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발 예비 연구
- 화재성장률에 따른 축소모형에서의 연기성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상부노출형 폐단면 충전보의 휨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 AR5 RCP 시나리오에 따른 금호강 유역 수문변화지표 분석
- 노후도로 관리를 위한 노면 평탄성 감지장치 활용 방안
- 횡월류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유량계수 산정식 개발
- 지중구조물 설치시 이격거리별 압축형 앵커의 안정성 평가
- 지진 에너지의 시변동성과 Gutenberg-Richter 법칙 상수와의 관계
- 광역 토사재해 물리적 취약성 평가를 위한 Flow-R 모델의 매개변수 분석
- 동결융해 환경에서의 제설염 종류와 표면강화제 처리에 따른 콘크리트의 표면박리 저항성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법원 시설보안설계 모델 연구
- 130 km/h의 소형차 충돌속도와 272 kJ의 고 충돌에너지를 만족시키는 반강성 방호울타리의 개발
- 대심도 지하철역사의 대피시간 재획정에 관한 연구
-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의 공기압축포 발포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