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설 재난에 따른 농⋅축산 시설 피해액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211
- 영문명
- Analyzing Damage Effect Factors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Facilities Caused by Heavy Snowfall Disaster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근영(Kim, Geunyoung) 주현태(Joo, Hyuntae) 김희재(Kim, Heeja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7권4호, 65~7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설 재난은 태풍․호우를 포함한 풍수해 다음으로 경제적 피해가 높은 자연재난이다.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로 겨울철 북극진동주기가 불규칙해지면서 우리나라에서 대규모 대설 재난 피해의 위험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설 재난으로 인한
재산피해를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누적 강설량, 누적 강설일 등 대설 재난 요인변수,
사회경제변수, 대설 재난 피해액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농 ․ 축산 관련변수 등 대설 재난 피해액의 영향요인들과 대설
재난 피해액간 관계성을 파악하여 대설 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추정하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 회귀분석 모형 개발절차를 통해 4개의 유효한 회귀분석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대설 재난 피해액에 영향을
미치는 6개의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설해위험지역 선정, 비닐하우스 ․ 축사 등 농축산 시설기준 개선, 대설
재난 대응방안 수립, 대설 재난 복구예산 추정 등 다양한 대설 재난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Heavy snowfall disasters are the natural disasters with high economic effects after typhoon and heavy rainfall disasters. The economic effect risk of massive heavy snowfall disasters is growing in South Korea caused by the irregular cycle of arctic oscillation during the winter season due to the global climate change. However,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for economic effects by heavy snowfall disaster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economic effect estimation model for heavy snowfall disasters by identifying the association between economic effects of the disasters and their effect factors, including cause factors of heavy snowfall disaster
such as cumulated snowfall amount, cumulated snowfall days, socioeconomic factors, and agricultural and livestock factors. This esearch developed four relative regression models by the regression model development procedure, and identified six effective factors for snowfall economic damag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used for various heavy snowfall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 가설 및 방법
4. 실증분석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전이물질의 혼입이 삼성분계 모르타르의 수화열 및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
- VE기법을 이용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비용/편익 분석
- 소유역 첨두홍수량 산정의 실무적 조정 방안
- 기상청 AR5 1-km 해상도 RCP 자료를 이용한 미래 가능최대강수량 분석
- 구형단면 내부구속 중공 철근콘크리트 부재 내의 콘크리트 재료 비선형 모델 개발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7권4호 표지
- 효율적인 복합재난관리를 위한 위기관리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침투시설 치수효과 분석 시스템 개발
- 유입부하 변동에 따른 Bio-Sac 생물반응조의 최적 송풍량 결정에 관한 연구
-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한 태풍 영향기간 동안의 강우패턴 분석
- 토석류 위험지구의 관리구역 설정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7권 4호 목차
-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치를 위한 유형결정 방안에 대한 연구
- 복합적 토지피복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연구
-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가능최대강수량 산정을 위한 최소관측기간의 결정
- 가상현실 기반의 방사능방재 훈련시스템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 해양 HNS 유출사고 초동대응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 개발 연구
- IETD결정방법을 통한 도심지역의 무강우시간 추정
- 한계평형해석에서 송전탑 하중에 의한 영향요소에 대한 연구
- 지리정보 혼합시스템 기반의 초저음파 관측소 설계
- 제연구역 풍량제어를 위한 이중모드댐퍼 개발 연구
- 이중관형 지중열교환기의 유입유량에 따른 관내 유체흐름특성에 관한 연구
- 수용성 방염액 처리 목재의 방염 성능 및 가스유해성 분석
- 기존 지하철역사 피난성능 향상을 위한 피난대피소 구축방안 연구
- CFD코드를 이용한 HPSI Pump Room의 화재안전성 평가
- 문화재 재난안전도 평가지표 개발 연구
- 성인지적 관점을 고려한 재난안전관리 정책 수립의 필요성
- 경남 창원시 진해 지역의 발파진동 예측에 관한 연구
- 대설 재난에 따른 농⋅축산 시설 피해액 영향요인 분석
-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소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발 예비 연구
- 화재성장률에 따른 축소모형에서의 연기성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상부노출형 폐단면 충전보의 휨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 AR5 RCP 시나리오에 따른 금호강 유역 수문변화지표 분석
- 노후도로 관리를 위한 노면 평탄성 감지장치 활용 방안
- 횡월류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유량계수 산정식 개발
- 지중구조물 설치시 이격거리별 압축형 앵커의 안정성 평가
- 지진 에너지의 시변동성과 Gutenberg-Richter 법칙 상수와의 관계
- 광역 토사재해 물리적 취약성 평가를 위한 Flow-R 모델의 매개변수 분석
- 동결융해 환경에서의 제설염 종류와 표면강화제 처리에 따른 콘크리트의 표면박리 저항성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법원 시설보안설계 모델 연구
- 130 km/h의 소형차 충돌속도와 272 kJ의 고 충돌에너지를 만족시키는 반강성 방호울타리의 개발
- 대심도 지하철역사의 대피시간 재획정에 관한 연구
-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의 공기압축포 발포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